[길섶에서] 장애인 안내견/김상연 논설위원

[길섶에서] 장애인 안내견/김상연 논설위원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21-01-25 20:24
업데이트 2021-01-26 0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릴 적 개한테 물린 기억 때문에 어른이 된 지금도 낯선 개를 마주치면 무섭다. 그런데 시각장애인 안내견만큼은 예외다. 그 아이들은 ‘관상은 과학’이라는 시쳇말을 온몸으로 입증하는 것 같다. 축 처진 눈꼬리와 꿈뻑꿈뻑 서글픈 눈망울, 터벅터벅 걷는 우직한 네 다리…. 길을 가다 그 아이들을 발견하면 당장 달려가서 두 손으로 얼굴을 마구 쓰다듬고 볼을 비비고 싶다. 시각장애인 안내견을 함부로 쓰다듬는 행위는 금기시된다고 하니 참아야 하지만.

장애인 안내견은 노벨평화상을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앞이 안 보이는 사람을 위해 평생을 봉사하는 그 아이들의 삶은 이 세상 어떤 인간들보다 더 헌신적이기 때문이다. 매일같이 시각장애인의 눈이 돼 주는 것은 부모·형제도 하기 힘든 일이다.

두어 달 전 시각장애인 안내견이 대형마트에 들어갔다가 직원에게 봉변을 당한 일이 있은 뒤로 길에서 그 아이들을 발견하면 더 안쓰러운 마음이 든다. 아직 다 자라지 않은 그 안내견이 겁에 잔뜩 질린 얼굴로 카메라를 쳐다보는 당시 사진이 좀처럼 잊히지 않는다. 나는 개한테 물린 트라우마를 아직도 갖고 살지만, 그 장애인 안내견은 사람에 대한 트라우마 없이 살아갔으면 좋겠다.

2021-01-26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