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조너선’에 대하여

[길섶에서] ‘조너선’에 대하여

박홍환 기자
입력 2020-01-13 22:22
업데이트 2020-01-14 0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작가 리처드 바크의 소설 ‘조너선 리빙스턴 시걸’은 지난 50년간 4400여만부가 팔린 베스트셀러다. 우리나라에서는 1973년 ‘갈매기의 꿈’으로 번역, 출간됐다. 무지개의 근원을 찾겠다며 멋모르고 친구들과 산등성이를 넘었던 초등학교 4학년 때쯤 처음 읽었던 것 같다. 중학교 때는 동명 영화 음악감독을 맡았던 닐 다이아몬드의 LP판으로 메인 테마곡 ‘Be(존재)’를 들었다. 감성 충만했던 사춘기 소년의 허영심을 채워 주고도 남았다.

바다를 찾을 때마다 갈매기를 유심히 관찰하곤 하는데 비 오는 날의 갈매기들은 애처롭기 그지없다. 깃털이 젖을까 백사장에 뱀이 똬리 틀듯 움츠리고 앉은 채 눈만 껌뻑이는 모습이 그렇다. 예전 인천 강화 석모도를 배 타고 들어갈 때는 갈매기들에게 과자 던져 주는 재미가 쏠쏠했다. 날름 낚아채 먹는 기술은 솜씨 좋은 소매치기를 능가했다.

다리가 놓여 이제 섬 아닌 섬이 된 석모도, 그 많던 ‘과자 받아먹던 갈매기’들은 어디로 갔을까. 혹시 일부는 ‘조너선’처럼 무리를 떠나 멀고 긴 도전의 여행을 하고 있지는 않을까. 무기력하게 세월을 탕진하고 있는 지금, ‘조너선’의 용기가 더욱 그리워진다. 얼마 전 다시 찾은 석모도, 갈매기들은 관광객 붐비는 해변에서 여전히 과자를 받아먹고 있었다.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20-01-14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