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할머니와 앵두/강동형 논설위원

[길섶에서] 할머니와 앵두/강동형 논설위원

강동형 기자
입력 2016-06-30 22:26
업데이트 2016-06-30 22: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시에서 자란 아이들은 앵두나무를 잘 알지도 못할뿐더러 먹어 보지도 못했을 것이다. 앵두는 과육에 비해 씨가 유난히 단단하고, 커서 먹기가 성가시다. 하지만 새콤달콤한 그 맛은 잊을 수가 없다.

퇴근길에 재래시장을 지나가다 앵두가 보여 발걸음을 멈췄다. 살까 말까 망설이다 가만히 보니 앵두가 아닌 것 같았다. 가게 주인인 할머니에게 물어보니 ‘양앵두’라고 했다. 할머니는 “앵두보다 더 달다”며 맛을 보라고 했다. 추억 속의 앵두 맛은 아니었다.

고향집에 앵두나무 한 그루가 있었는데 6월이면 앵두가 붉어졌지만 익은 앵두를 찾기는 쉽지 않았다. 내 차지가 되는 건 더 힘들었다. 먹거리가 부족한 탓에 익기도 전에 동네 아이들이 따 먹어 버렸기 때문이다. 유일하게 앵두 맛을 볼 수 있었던 건 할머니 덕택이다. 뻘뻘 땀을 흘리며 학교에서 돌아오면 할머니가 한알 두알 모아 둔 앵두 한 종지를 내놓곤 했다. 시고도 단 앵두를 아껴 먹고 있으면 그마저도 손위 누이가 뺏어 먹기 일쑤였다. 그러면 할머니가 누이를 나무랐고, 누이는 종종걸음을 쳤다. 오래전에 돌아가신, 손자 사랑이 유난했던 할머니가 그립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6-07-01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