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중학교 입시 폐지로 이어진 1960년대 무즙 ·창칼 파동

[DB를 열다] 중학교 입시 폐지로 이어진 1960년대 무즙 ·창칼 파동

입력 2013-01-26 00:00
업데이트 2013-01-26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음은 1964년 12월 7일 치른 서울 전기 중학교 입시 자연 과목 18번 문제다.

18) 다음은 엿을 만드는 순서를 차례대로 적어놓은 것이다.

① 찹쌀 1㎏가량을 물에 담갔다가

② 이것을 쪄서 밥을 만든다.

③ 이 밥에 물 3ℓ와 엿기름 160g을 넣고 잘 섞은 다음에 60도의 온도로 5~6시간 둔다.

위 3과 같은 일에서 엿기름 대신 넣어도 좋은 것은 무엇인가?
이미지 확대


당국은 보기 1번 ‘디아스타아제’를 정답으로 발표했지만 2번 ‘무즙’을 선택한 학생들은 무즙도 답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했다. 학부모들은 교과서에 침과 무즙에도 디아스타아제가 들어 있는 것으로 나와 있다고 항의하면서 복수 정답으로 인정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른바 ‘무즙 파동’이다.

합격자 발표 결과, 경기중학교의 커트라인은 154.6점이었다. 한 문제 때문에 떨어진 학생의 학부모들이 흥분한 것도 이해할 만했다. 정답을 무즙으로 적어 낙방한 학생은 39명이었다. 학부모들은 무즙으로 실제로 엿을 고아서 들고 가 항의하기도 했다. 오락가락하는 태도를 보이던 당국은 무즙은 오답이라고 결론 내렸고 결국 사건은 법정 공방으로 이어졌다. 1965년 3월 30일 서울고법은 무즙도 정답으로 봐야 한다며 39명을 구제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학생들은 5월 12일 전학 형식으로 원하는 학교에 입학했다. 사진은 이듬해인 1966년 12월 2일 중학교 입시를 치르는 초등학생들의 모습이다.

‘창칼 파동’은 1968학년도 경기중학교 입학시험에서 벌어졌다. 미술 13번 문제 ‘목판화를 새길 때 창칼을 바르게 쓴 그림은?’이라는 문항에서 복수 정답 시비가 생겼다. 학부모들은 교장과 교감을 연금하는 소란을 피우고 소송도 제기했지만 이번에는 패소했다.

지나친 교육열과 입시 경쟁에서 비롯된 무즙 파동과 창칼 파동으로 중학교 입시는 폐지됐다. 1969학년도부터 서울에서 처음으로 중학교 추첨제가 시행됐다. 이듬해에는 부산, 대구, 광주, 인천 등의 대도시도 중학교 입시제도를 폐지했다. 더불어 서울에서는 1970학년도를 끝으로 이른바 명문으로 불렸던 7개 중학교가 폐교됐다. 경기중, 서울중, 경복중, 경동중, 경기여중, 수도여중, 이화여중이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1-26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