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벤처펀드 결성 9조원 돌파 역대 최대...펀드 수도 2배 증가

지난해 벤처펀드 결성 9조원 돌파 역대 최대...펀드 수도 2배 증가

류찬희 기자
입력 2022-01-17 12:41
업데이트 2022-01-17 12: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벤처펀드 결성추이
벤처펀드 결성추이
지난해 벤처투자조합(벤처펀드) 결성액이 9조원을 넘으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신규 결성 벤처펀드 수도 404개로 기존 최다인 2020년(206개)의 두 배였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벤처펀드 결성액이 전년보다 34.0%(2조 3363억원) 증가한 9조 2171억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결성 규모는 100억원 미만 소규모 펀드가 172개로 42.6%, 100억원 이상~300억원 미만이 36.4%였다. 1000억원 이상 펀드는 21개로 5.2%였다. 운용사별로는 창업투자사 운영 벤처펀드가 289개로 71.5%를 차지했고 유한책임회사(LLC)(14.4%), 창업기획자(10.1%), 신기술사(4.0%) 등의 순이었다.

펀드 결성은 민간이 주도했다. 지난해 결성된 벤처펀드의 출자자는 모태펀드 등 정책금융 부문 출자가 2조 7429억원으로 전체의 29.8%를 차지했고 민간부문 출자는 6조 4742억원으로 70.2%였다. 최대 규모의 펀드는 KTB 네트워크가 운용하는 ‘KTBN 18호 벤처투자조합’으로, 국민연금공단의 모태펀드 출자(500억원)를 받아 2810억원 규모로 결성됐다. 두 번째로 큰 펀드인 ‘해시드 벤처투자조합2호’는 해시드벤처스가 운용하는 펀드로 순수 민간자금으로만 2400억원 규모로 결성됐다.

펀드 결성 증가는 창투사의 자본금 요건 완화(50억원→20억원), 창업기획자의 벤처펀드 결성 허용, 유한책임회사(LLC)의 펀드 결성요건 완화 등 규제 완화로 벤처투자자 저변이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중기부 박용순 벤처혁신정책관은 “모태펀드의 비중은 낮아지고 제도적인 규제 완화로 벤처투자자 저변이 확대돼 민간자금이 크게 증가한 것은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