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인당 임금, OECD 중하위권…증가율도 평균 아래

한국 1인당 임금, OECD 중하위권…증가율도 평균 아래

김서연 기자
입력 2017-11-01 11:37
업데이트 2017-11-01 1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월급쟁이의 평균 임금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하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6년간 임금 증가율 역시 평균보다 떨어졌다.
한국 1인당 임금, OECD 중하위권. 연합뉴스
한국 1인당 임금, OECD 중하위권. 연합뉴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의원이 OECD 회원국의 임금 현황을 분석, 1일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한국 근로소득자의 2016년 평균 임금은 2만 9125달러로 OECD 34개국(터키 제외)에서 23위였다.

임금 증가율도 낮았다. 2010∼2016년 OECD 34개국 평균 임금 증가율은 5.39%였으나 한국은 2010년 2만 8040달러에서 지난해 2만 9125달러로 3.87% 오르는 데 그쳤다.

라트비아(27.90%), 아이슬란드(24.26%) 등 임금 증가율이 20%에 달하는 국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증가율 격차는 훨씬 두드러진다.

지난해만 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1조 4112억 달러)은 OECD 8위, 1인당 GDP(2만 7539달러)로 22위였다.

국가 규모와 비교해 국민 개인과 임금 수준이 떨어지는 것이다.

총생산 대비 임금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1인당 GDP 대비 평균 임금은 한국이 105.76%로 GDP 규모가 비슷한 호주(114.38%), 캐나다(115.49%), 스페인(114.97%)에 비해 낮았다.

한국의 GDP가 다른 국가와 비슷하지만, 임금 소득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박 의원은 GDP 중 특정 대기업이 차지하는 생산과 소득 비중이 클 경우에도 1인당 GDP 대비 임금소득 수준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대기업은 성장하는데 가계소득이 하락하는 이유는 임금 격차”라며 “경제 성장의 열매가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대기업의 하청기업 임금 인상을 유도하는 등 고용 형태에 따른 임금 격차 해소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