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 많이먹는 나라가 장수한다

고기 많이먹는 나라가 장수한다

입력 2016-01-03 10:25
업데이트 2016-01-03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기를 많이 먹는 나라일수록 기대수명이 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는 ‘국가별 축산물 소비와 기대수명 상관분석’ 보고서에서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자료를 활용해 28개국(선진국 10·신흥국 9·저개발국 9) 적색육 소비량과 기대수명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3일 발표했다.

기대수명은 0세 출생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년수다.

적색육 소비량과 기대수명의 상관계수는 0.7로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과 기대수명 간 상관계수(0.74)에 근접한 수치다.

기대수명이 높은 국가일수록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의 소비가 많다는 의미라고 농협은 설명했다.

평균수명은 선진국 81.4세, 신흥국 69.4세, 저개발국 65.8세이며 나라 유형별 1인당 연간 적색육 소비량은 각각 62.2㎏, 27.8㎏, 9.8㎏이다.

세계적인 장수국가인 홍콩과 프랑스인의 2011년 1일 평균 적색육 소비량은 각각 230g, 170g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한 적색육 섭취 경고수준인 100g을 넘는다.

닭고기·오리고기 등 가금육과 기대수명의 상관계수는 0.49로 보통 수준이었다.

육류 섭취량은 체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인구 1천만명당 획득한 메달 수와 적색육의 상관계수는 0.73이었다.

1천만명 당 올림픽 메달 수는 선진국 8개, 신흥국 1.2개, 저개발국 0.3개였다.

황명철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장은 “축산물은 기대수명이나 체력유지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을 위해서는 소고기, 돼지고기 등 적색육을 적절히 섭취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