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부, 러시아發 시장불안에 ‘긴장’…모니터링 대폭 강화

정부, 러시아發 시장불안에 ‘긴장’…모니터링 대폭 강화

입력 2014-12-17 00:00
업데이트 2014-12-17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FOMC 등과 연동해 시장 영향 예의주시…자동차·정유 업계 악영향 우려

저유가에서 촉발된 러시아발 금융위기가 일부 신흥국 시장으로 전염되면서 정부 당국이 내부 회의를 소집하는 등 대응 강도를 높이고 있다.

정부는 한국이 실물경제 및 금융 측면에서 러시아와 관계가 크지 않은 만큼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러시아발 시장 불안이 국제금융시장 전반으로 전염되거나 가뜩이나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제기되는 유로존 경제를 억누를 경우 한국 역시 일부 영향권에 들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17일 “현재 진행되고 있는 러시아발 금융위기를 매우 이례적인 상황으로 보고 러시아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시장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러시아가 하룻밤 만에 금리를 6.5% 포인트 올린 것이나 5일만에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선 것이나 정상적인 상황으로 볼 수 없다”면서 “한국은 교역관계가 크지 않지만 러시아가 유럽과 크게 연동돼 있는 만큼 실물경제 측면에서 간접적인 영향권에 들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당국은 대 러시아 수출 품목인 자동차와 전자 업종, 저유가에 따른 정유·화학 업종에 부정적인 영향이 커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러시아는 1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현행 연 10.5%에서 17.0%로 6.5% 포인트 올렸다. 이는 지난 11일 1%포인트 인상에 이어 5일 만에 추가 인상에 나선 것이다.

기재부도 긴장 속에서 러시아발 시장 불안의 여파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안전자산 선호로 엔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원화도 일정 부분 절상되는 상황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한국은 일정부분 거리를 두고 있다고 보는 편이 맞다”면서 “다만, 인도네시아와 터키 등이 불안해지면서 신흥국 금융위기로 변질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시상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기재부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유가나 對(대) 러시아 제재 등 전세계적인 문제라기보다 러시아 자체적인 문제로 보고 있다”면서 “한국은 러시아와 직접 교역 측면에서 일정 부분 거리가 있고 작년 미국의 금리 인상 신호 속에서도 신흥국과 차별화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대 러시아 교역규모는 2%가량, 금융기관의 대 러시아 익스포져도 1.5% 정도로 정부는 추정하고 있다.

기재부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마무리되는 되는 대로 내부회의를 소집, 전반적인 시장 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한국은행 역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한은은 이날 오전 러시아발(發) 국제금융시장 불안의 영향을 점검하기 위한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열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한은 본관에서 열린 2014년도 대외 포상 시상식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러시아발 금융불안이) 우리 경제에 미칠 직접적 효과는 크지 않지만, 다른 경로를 통해서 오는 파급 효과를 점검해보고 있다”며 “필요할 경우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러시아발 시장 불안이 확산할 경우 기재부와 금융위·금감원, 한국은행, 국제금융센터 등이 참가하는 금융상황점검회의나 거시경제점검회의 등을 소집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한국은 충분한 외화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고 금융사의 외환 건전성은 금융사들이 부담스러워할 만큼 탄탄하게 해놓은 만큼 시장이 단기간 출렁일 수야 있겠지만 곧 균형을 찾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