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영 소설가
영화제가 끝나자마자 감사가 시작됐다. 부산시장은 9년간 영화제를 이끌어 온 이용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을 고소하고 사퇴 압박을 넣었다. 영화제 예산은 14억 6000만원에서 8억원으로 절반 가까이 삭감됐다. 이용관 위원장은 재신임되지 않았다. 상황이 이렇다면 애초에 중립적이지 못한 것은 국가 권력 아닌가. 영화제의 자율성과 독립성,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문화 축제를 정치적으로 망가뜨린 것이다.
사정이 이 지경에 이르자 국내외 많은 영화인들이 부산국제영화제를 지키기 위해 나섰다. 각국의 많은 감독과 배우, 명망 있는 영화제의 집행위원들이 ‘I SUPPORT BIFF’라고 쓴 종이를 들고 찍은 사진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공개했다. 한국 정부에 문화 예술에 대한 검열과 간섭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 영화제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지키며 정치, 자본, 종교, 인종, 국가 등 거대 권력의 눈치를 보지 않고 다양한 영화를 선정, 상영해 온 이용관 위원장을 응원하는 메시지다.
정부의 문화 예술 검열과 간섭은 문학 쪽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지난해 문화예술위원회는 문학창작기금 희곡부문 지원 사업 심의에서 1위로 통과한 이윤택 연출가의 희곡 ‘꽃을 바치는 시간’을 탈락시켰다. 연극부문 창작산실 지원 사업 심의를 통과한 박근형 연출가의 작품을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라고 심사위원들을 압박하기도 했다. 2012년 대선 때 문재인 후보를 지지했거나 박근혜 대통령을 부정적으로 언급했다는 이유 때문이다. 올해에는 ‘아르코 문학 창작기금 사업’도 축소된다. 우수 문예지 발간 사업이 중단되고 창작기금 지원 대상과 금액도 대폭 변경됐다.
이런 소식을 접할 때면 모멸감을 느낀다. 돈과 권력이 창작과 자유의 순수성을 짓뭉개는 것 같고, 기나긴 시간 인류가 공들여 지키고 다듬어 온 소중한 가치를 유린하고 생매장하는 현장을 지켜보는 기분이다. 이 사회는 하루에 일 년만큼 퇴보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그런 인상을 지울 수 없었다.
정부 사업은 국민들의 세금으로 꾸려진다. 나는 우리의 세금이 정권의 입맛대로 한국사 교과서를 고치거나 사드를 들여오는 것에, 호화 청사를 짓거나 자연을 훼손하는 것에, 국민들의 사생활을 감찰하는 데 쓰이기보다 아이들을 공평하게 밥 먹이고 돌보는 데, 어르신들 건강과 복지에, 아동학대 피해자와 미혼모의 생활과 안전에, 성과 지위와 나이 때문에 차별받지 않는 사회를 만드는 것에, 친환경 에너지 개발과 환경 보전에, 문화 예술 활동의 지원과 부흥 등에 쓰이길 바란다.
다양한 예술의 공유를 통해 우리는 타인의 정서와 감각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고 이 세계를 더욱 넓고 깊게 들여다볼 수 있다. 나는 많은 사람들이 다채로운 문화를 즐기고 예술과 창작을 취미 삼길 바란다. 매일 돈과 성취를 좇아 서로 경쟁하며 이기고자 애쓰는 삶보다 서로를 걱정하고 보듬는 삶이, 타인의 안위에 안도하고 타인의 고통과 슬픔을 나누는 삶이, 그런 나라의 국민들이 훨씬 더 행복하고 안전하리라 믿어 의심치 않으니까.
2016-03-03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