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2] 임진왜란의 산물 천왕문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2] 임진왜란의 산물 천왕문

입력 2015-08-11 10:39
수정 2015-08-20 1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충북 보은 속리산 법주사 전경
충북 보은 속리산 법주사 전경 충북 보은 속리산 법주사 전경
절에 들어서면 대개 처음 마주치는 전각이 천왕문(天王門)이다. 내부에 무섭게 생긴 사천왕(四天王)이 악귀를 밟고 있는 모습을 조각해 놓은 건물이라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한마디로 절을 호위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지키는 역할을 하는 존재다. 그런데 한국불교에서 천왕문이 크게 유행한 것이 임진왜란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천왕문과 사천왕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미지 확대
법주사 천왕문
법주사 천왕문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당시 의병장 벽암 각성이 조성한 법주사 천왕문
사천왕은 고대 인도의 토속신앙에서 유래한 존재이지만, 불교에 편입되면서 불법(佛法)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자리매김했다. 사천왕은 세상의 중심이라는 수미산 중턱에서 각각 자신들의 권속을 거느리고 살면서 동서남북의 네 방위를 각각 맡아 지키는 존재라고 한다. 동쪽의 지국천왕, 서쪽의 광목천왕, 남쪽의 증장천왕, 북쪽의 다문천왕이다. 절을 호위하는 역할이니 천왕문은 절의 들머리에 세워진다.

사천왕이 한국불교에서 임진왜란 이후 갑자기 부각된 존재는 아니다. 사천왕상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성되기 시작해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로 이어졌다. 신라시대에는 경주 사천왕사터의 소조 사천왕이나 감은사터 석탑의 사리장엄같은 소규모 조각상이나 불탑에서 나타난다. 고려시대에도 석탑·석등이나 구리거울에 조각한 경상(鏡像)에 보인다.

이미지 확대
법주사 천왕문에 모셔진 동방지국천의 발밑에 깔린 악귀
법주사 천왕문에 모셔진 동방지국천의 발밑에 깔린 악귀 법주사 천왕문에 모셔진 동방지국천의 발밑에 깔린 악귀. 왼쪽이 병자호란을 일으킨 청나라 태종 홍타이지, 오른쪽이 임진왜란을 일으킨 토요토미 히데요시라는 전설이 내려온다.
이렇듯 작은 장엄으로나 나타나던 사천왕이지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갑자기 천왕문의 형태로 스케일이 커지면서 집중적으로 세워진 것이다. 조선 후기 천왕문은 전국에 17곳이 남아 있다. 조선 전기 것은 제 모습을 유지한 것이 없고, 후기 사천왕상도 임진·병자 양란 이전 것은 둘 뿐이다. 장흥 보림사 것이 1515년, 김천 직지사 것이 1596년 조성됐다.

법주사는 1624년, 순천 송광사는 1628년, 화엄사는 1632년, 완주 송광사는 1649년 이전 천왕문을 조성한다. 이후 고흥 능가사와 홍천 수타사, 고창 선운사, 청도 적천사, 남해 용문사, 하동 쌍계사, 양산 통도사, 안성 칠장사, 서울 봉은사, 여수 흥국사, 영광 불갑사에도 천왕문이 잇따라 세워졌다.

이미지 확대
사모관대 차림의 인물
사모관대 차림의 인물 사모관대 차림의 인물은 무능한 조정의 관료를 상징하고 있다고 보아야 좋을 것이다.
조선 후기 천왕문을 새로 지은 사찰 가운데 임진왜란 당시 승군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절은 모두 9곳에 이른다. 직·간접적인 관계가 있었던 절도 3곳이다. 임란 당시 승군대장 부휴당 선수(1543~1615)와 그의 제자로 역시 승군을 이끌었던 벽암 각성(1575~1660)을 비롯한 문도들이 천왕문의 건립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천왕문은 종교건축의 좁은 의미를 뛰어 넘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교훈을 잊지말라는 메시지를 담은 일종의 기념비다. 불교를 탄압한 유교국가 조선에서 위기에 처한 국가를 구해낸 불교를 기억하라는 무언의 상징물이다. 모든 문화재는 구체적인 역사의 산물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천왕문과 사천왕의 사례에서도 실감할 수 있다.

광복절 70주년 연휴를 맞아 전국 어디든 절을 찾는다면 혹시 천왕문이 있는지 눈여겨 볼 일이다. 뜻밖의 장소에서 선조들의 구국정신과 항일정신을 되새겨 볼 수 있는 기회다.

글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