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낙방하고 말았구나’ 하는 생각에 쓸쓸해질 때, 당선 통보를 받았습니다. 최종심에 오른 지 8번 만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선배 시인들의 시를 몇 번씩 필사하고 음미하면서 사숙(私淑)하며 지내온 시간들이 스쳐 지나갑니다. 잦은 밤샘에도 푸념 한번 없이 격려와 위로를 아끼지 않은 아내, 딸 다영, 아들 도영, 진심으로 응원해 준 용현록 형과 친구 박귀정·소용희·화가 이지호, 제자 임태성 시의원, 정이 넘치는 고향 분들, 모두가 눈물겹도록 고마운 사람들입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백락일고’(伯一顧)라는 고사처럼 부족한 시를 따스한 눈길로 봐주신 심사위원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5년 전 겨울, 고향땅 솔섬(松島) 앞에서 뼈 시린 가난을 온몸으로 막아서다 바람 등에 지고 상현달로 떠오르신 부모님 영전에 오늘의 영광을 바칩니다.
▲1964년 전남 완도 출생 ▲문학박사 ▲현 목포 문태고등학교 국어 교사
2015-01-01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