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과 함께하는 식품보감] 한국 키위의 역사

[농촌진흥청과 함께하는 식품보감] 한국 키위의 역사

입력 2014-12-12 00:00
수정 2014-12-12 01: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20년 전 뉴질랜드산 재배 시작… 농진청, 국산 품종 개발에 성공 수출 효자 상품으로 변신

키위(참다래)하면 당연히 수입산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많지만, 최근에는 국산을 외국에 수출하는 등 한국 키위가 세계적으로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키위는 20여년 전만 해도 정부조차 “한국에서 되겠느냐”면서 포기한 과일이지만, 지금은 외화를 벌어들이는 수출 효자 상품로 변신했다.

이미지 확대
한라골드
한라골드  
정부는 1990년에 국내 키위 시장을 완전 개방했다. 바나나처럼 우리나라에서 키위 산업은 몰락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키위에 대한 투자를 없앴고, 쌀 시장 개방 등 다른 시급한 과제에 돈과 연구인력을 집중 투입했다.

이때부터 외국산 키위의 공습이 시작됐다. 뉴질랜드는 1990년대부터 우리나라에 키위를 수출했고, 2002년 한·일 월드컵 때 유명 탤런트를 광고 모델로 앞세워 골드 키위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면서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당시 감귤을 대체할 과일을 찾던 제주 서귀포시는 키위 시장의 성장을 보고 뉴질랜드의 제스프리사와 2004년부터 2023년까지 매출액의 20%를 로열티로 주는 조건으로 계약재배를 시작했다. 한국 키위 시장이 뉴질랜드에 점령당할 위기였다.

그러나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면 우리도 키위 산업을 해볼 만하다고 생각했던 농촌진흥청은 1997년부터 전 세계의 유전 자원을 수집하고 교배를 실시하는 등 국산 키위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결국 2002년에 국산 골드키위 1호인 ‘제시골드’를, 2007년에 2호인 ‘한라골드’를 만들어 결실을 맺었다.

농진청은 2006년 11월에 제주지역 농민들을 대상으로 국산인 제시골드와 뉴질랜드 제스프리사 키위의 맛을 비교하는 현장 평가회가 열었다. 농민들은 하나같이 제시골드의 손을 들어줬다. 제스프리사와 계약하려던 많은 농가가 농진청의 제시골드로 돌아섰다. 2006년까지 국산 품종이 전혀 재배되지 않았지만 현재는 270㏊의 농장에서 한라골드 등 국산 키위를 기르고 있다. 국산 키위의 약진이 계속되자 제스프리사와 이미 계약한 농가들이 뉴질랜드 측에 로열티가 너무 많다고 항의했고, 20%이던 로열티를 15%로 깎아 외화 유출을 줄이는 계기도 됐다.

제주에서는 키위 농가를 하나로 묶은 한라골드영농조합법인을 중심으로 ‘키위랑’이라는 공동 브랜드를 만들어 품질 향상에 힘쓰고 있다. 공동 출하, 공동 정산시스템을 도입해 국산 키위의 재배 면적도 늘리고 있다. 농진청은 2010년 중국의 한 농업회사에 국산 키위 품종을 수출하고, 매출액의 5%를 로열티로 받는 계약을 맺었다. 모두가 포기했던 키위는 20여년 만에 국산 품종을 외국에 로열티를 받고 수출한 최초의 과일로 거듭났다.
2014-12-12 22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