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DS단석
    2025-04-17
    검색기록 지우기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
  • 13년째 채권발행 1위… ESG 연계 상품도

    13년째 채권발행 1위… ESG 연계 상품도

    KB증권이 기업금융(IB)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 집중하고 있다. 24일 KB증권은 지난해까지 13년 연속 채권발행시장(DCM) 부문 1위(블룸버그 기준)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자산유동화증권(ABS) 확대, 공기업 대상 글로벌 채권 발행, 국내 최초 원화 지속가능연계채권(SLB) 대표 주관 등을 추진해 온 KB증권은 올해 역시 채권 분야 1위를 달성한다는 각오다. KB증권은 주식발행시장(ECM)에도 집중하고 있다. 2022년 KB증권은 LG에너지솔루션 등 주관에 힘입어 국내 순위 1위에 오른 바 있다. 지난해 9월 4위까지 떨어졌으나 HD현대마린솔루션 등 대형 기업공개(IPO)에 집중하면서 상반기 기준 주관 실적 1위를 다시 달성했다. 같은 해 ESG 관련 기업의 IPO도 주관했다. 업계 최초 탄소배출권 기업인 에코아이, 친환경 에너지·소재·부품 기업 LS머트리얼즈, 순환경제 전문기업인 DS단석 등이 대표적이다. 다른 IB에서도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KB증권은 지난해 최대 규모 중 하나였던 SK쉴더스 인수금융을 단독으로 주선했다. 해외에서는 총 8000억원 규모의 인수금융 4건을 시행했다. 인수금융은 인수합병(M&A) 과정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했다는 의미다. 한편 KB증권은 환경을 생각하는 ESG 가치 및 생태계 확장에 적극적으로 참여 중이다. 그린본드와 소셜본드 등 ESG채권과 지속가능연계(SLB) 원화 채권 발행을 주관하는 등 지난 3년간 ESG 금융 실적을 3배가량 늘렸다. 탄소감축사업과 탄소 배출권 및 연계상품 판매 등 탄소금융 시장 조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2022년 12월에는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 ‘시장조성자’로 선정돼 배출권 할당 기업의 감축 활동을 맡았다. 지난해 6월에는 ‘KB증권 ESG 가치확산 투자조합’ 펀드를 결성해 자본이 ESG 경영에 유입될 수 있도록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 고금리·고물가에도 꺾이지 않은 ‘따상’의 꿈... IPO 청약에 몰렸다

    고금리·고물가에도 꺾이지 않은 ‘따상’의 꿈... IPO 청약에 몰렸다

    공모주 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지난해 기업공개(IPO) 건수가 1년 전보다 늘고 경쟁률도 높아졌다. 금융감독원은 27일 ‘2023년 IPO 시장 동향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금리 인상, 높은 수준의 물가 상승 지속 우려 등 기업활동 불안 요인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IPO 기업은 82곳으로 전년도 70곳보다 17.1% 증가했다. 코스닥을 중심으로 한 규모 100억~500억원의 중소형 IPO가 전체의 57.6%를 차지했다. 대형 IPO(규모 1000억~1조원)는 두산로보틱스(4212억원), 에코프로머티(4193억 원), DS단석(1220억 원), 파두(1938억 원) 등 모두 4곳이었고, 규모 1조원 이상의 초대형 IPO는 없었다. 그 여파로 전체 IPO 공모금액은 3조 3000억원으로 전년도(15조 6000억원)보다 78.8% 줄었다. 특히 청약 경쟁률과 수익률은 모두 상승했다. 지난해 청약경쟁률은 934대 1로, 전년도(775대 1)보다 20% 넘게 늘었다. 공모가 대비 상장일 시초가는 2022년 30%에서 지난해 82%로, 종가 수익률은 같은 기간 28%에서 72%로 모두 큰 폭으로 뛰었다. 특히 지난해 12월 IPO 6건의 상장일 시초가, 종가 수익률 평균은 200%를 초과해 연평균 수익률을 웃돌았다. 금감원은 “IPO 공모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주가 변동 위험도 확대되고 있다”면서 “지난해 12월 이후 공모가의 2배로 시초가가 형성된 이른바 ‘따따상’을 기록한 IPO 5건 가운데 3곳은 상장 후 주가 하락으로 상장일 대비 손실(-49.7%)을 기록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