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황사 범벅 미세먼지
    2025-05-15
    검색기록 지우기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
  • 황사 범벅 미세먼지…프로야구 3경기 첫 취소

    황사 범벅 미세먼지…프로야구 3경기 첫 취소

    올 들어 내륙 지역에 처음으로 황사가 관측됐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일부 지역은 황사와 뒤섞이며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져 올해 첫 미세먼지 경보가 발령됐다. 짙은 미세먼지 탓에 1982년 프로야구 출범 이후 최초로 야구 경기가 취소됐다.6일 환경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를 기해 서울에 미세먼지(PM10) 경보가 발령됐다. 앞서 오후 4시엔 인천 강화와 경기 북부·남부에 PM10 경보가 내려졌다. PM10 경보는 1시간 평균 농도가 300㎍/㎥ 이상 2시간 지속될 때 발령된다. 서울의 경우 2015년 PM10 경보제 도입 이후 처음이다. 인천 강화와 경기 북부·남부는 지난해 5월 6일 경보 조치된 적이 있다. 이날 하루 중 1시간 평균 농도가 가장 높았던 곳은 오후 3시 경기 평택항으로 무려 474㎍/㎥까지 치솟았다. 서울에선 오후 3시 서초구가 470㎍/㎥로 가장 높았다. 강동구(443㎍/㎥)와 성동구(410㎍/㎥), 성북구(421㎍/㎥)도 1시간 평균값이 400㎍/㎥를 넘었다. 미세먼지로 서울 잠실구장(NC-두산), 경기 수원케이티위즈파크(kt-한화), 인천 SK행복드림구장(삼성-SK)에서 열릴 예정이던 프로야구 경기가 전격 취소됐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4일 고비사막과 중국 내몽골에서 발원한 황사가 대기 하층 기류를 따라 서해상으로 남하해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황사가 나타났다. 황사는 7일까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기상청은 황사 농도는 점차 약해지겠지만 중국 만주 부근에서 추가로 생긴 황사가 7일 오전까지 우리나라 상공을 지나갈 것으로 관측했다. 미세먼지는 7일 ‘보통’으로 예보됐으나 전 권역에서 오전에 일시적으로 ‘나쁨’ 수준의 농도가 나타날 수 있다고 기상청은 전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 초미세먼지주의보…황사마스크 필수 ‘오염물질 범벅’

    초미세먼지주의보…황사마스크 필수 ‘오염물질 범벅’

    서울시 첫 초미세먼지주의보…오염물질 탓 황사마스크 필요 5일 중국발 오염물질이 서풍을 타고 날아와 한반도 상공에 머물던 안개와 뒤섞여 대기 환경이 악화하면서 서울에 사상 첫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됐다. 10월부터 지름 2.5㎛ 이하의 초미세먼지(PM-2.5) 경보제를 시행해온 서울시는 이날 오후 4시를 기준으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93㎍/㎥를 기록, 2시간 이상 지속되는 주의보 발령 기준을 넘겼다고 밝혔다. 시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60㎍/㎥ 이상 2시간 지속하면 주의보 예비단계, 85㎍/㎥ 이상이면 주의보, 120㎍/㎥ 이상이면 경보를 발령한다. 초미세먼지는 질산·황산염 등의 이온성분과 금속화합물 등 유해물질로 구성돼 많은 양을 흡입하면 기도에서 걸러지지 못하고 폐포까지 침투해 심장질환과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호흡기 질환자나 노약자는 물론 일반인도 장기간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부득이하게 나갈 때는 꼭 마스크를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초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지름 10㎛ 이하의 미세먼지(PM-10)도 시민 누구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심각했다. 애초 국립환경과학원은 예보를 통해 이날 오전에만 고농도 미세먼지가 예측될 뿐 하루평균 ‘보통’(81∼120㎍/㎥)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그런 예보가 빗나가면서 미처 미세먼지 현상에 대비하지 못한 많은 시민이 불편을 겪었다. 기상청이 측정한 이날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오전 1시 153㎍/㎥를 기록하고 오전 8∼10시 120㎍/㎥로 떨어졌지만, 오후 들어 다시 치솟으면서 오후 4시에는 166㎍/㎥를 기록했다. 이는 예보 등급상 나쁨(121∼200㎍/㎥)에 해당하며 국내 대기환경기준인 하루평균 100㎍/㎥를 최대 2배에 달하는 수치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날 예보가 빗나간 이유에 대해 “중국발 오염물질이 바람과 함께 남쪽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으나 대기가 안정되면서 대기 중 오염물질이 계속 남아 미세먼지가 고농도로 유지되고 있다”고 해명했다. 기상청은 “현재 중국 쪽에 중심을 둔 고기압 가장자리에 우리나라가 놓여 바람도 약하고 대기가 상당히 안정됐다”며 “안개까지 짙게 껴 사실상 고체 성격을 띠는 오염물질에 안개에 달라붙기 쉽다”고 밝혔다. 서울시내 실시간 대기정보는 홈페이지(http://cleanair.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휴대전화 문자로 받아보는 서비스도 신청할 수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올 황사 ‘망간·철’ 범벅, 평균 농도 지난해의 4배

    올해 황사때 대기중의 중금속 농도를 분석한 결과 망간,철,니켈 등의 농도는 지난해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인체 위해도가 큰 납,카드뮴 등은 환경기준 이하인 것으로 분석됐다. 28일 환경부에 따르면 망간은 4월 대전에서 발생한 황사에서 0.423㎍/㎥가 검출돼 지난해 연중평균 농도(0.0268㎍/㎥)보다 최고 15.8,지난해 황사때의 4배 가량 높게 검출됐다(1㎍/㎥는 1㎥당 100만분의 1g).지난해 평균과 비교해 서울은 6배,대구·광주는 10배 등 전국적으로 망간의 농도가 높았다. 철은 울산의 황사에서 12.237㎍/㎥가 검출돼 지난해 연중 평균치보다 13.1배,지난해 황사때보다 6배가 많은 등 전국적으로 지난해 평균의 4∼1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크롬은 서울의 3월 황사 평균이 0.0456㎍/㎥로 지난해 평균의 2.5배,지난해 황사 평균의 3배 등 전국적으로 오염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중금속 중 유일하게 환경기준이 설정돼 있는 납의농도는 0.0396∼0.0992㎍/㎥로 환경기준(연간 평균 0.5㎍/㎥)에 크게 못미쳤다.오히려 서울,대구,대전,인천에서는지난해 평균보다 올 황사 때 납의 농도가 낮게 나타났다.카드뮴과 구리도 지난해 황사 및 지난 한해의 평균 농도와 별 차이가 없었다.환경부 관계자는 “미세먼지 농도가 예년보다 크게 높아져 일반 토양에 많이 함유돼 있는 철,망간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고려대 산업의학과 박종태(朴鍾泰) 교수는 “미세한 망간 입자를 장기간 흡입할 경우 중추신경 장애로 인한 ‘망간정신병’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황사때는 외출을 삼가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류길상기자 ukelvin@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