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하이브리드카 시대] 살아 남으려면
도요타의 하이브리드카인 프리우스는 지난해 일본에서만 6만대가 팔렸다. 일본 전체 자동차 시장의 1%가 넘는 비중이다. 미국도 도요타, 혼다 등 일본업체를 중심으로 하이브리드카의 판매가 확대돼 2000년 7700대에 불과했던 하이브리드카 판매가 지난해 8만대를 넘었고 올해는 2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 미국 자동차 7대 중 1대는 하이브리드카
미국의 하이브리드카 시장은 2010년 120만대,2015년에는 300만대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에 비해서는 다소 늦지만 유럽에서도 지난해 1만대 정도가 판매됐고,2010년에는 45만대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에너지부 교통기술국 자료에 따르면 하이브리드카의 시장점유율은 2010년 14.5%,2015년 35%에서 2030년에는 50%를 넘을 전망이다.
전세계 자동차업체들이 너도나도 하이브리드카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것은 이처럼 하이브리드카 시장이 단순한 ‘틈새시장’을 넘어 주력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자동차업계는 1995년 현대차의 하이브리드 컨셉트카 개발을 시작으로 하이브리드카 역사가 10년이 지났지만 아직 양산단계에 도달하지 못했다. 지금까지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400대가 보급됐을 뿐이다.
산업자원부는 최근 ‘환경친화적자동차 개발·보급 5개년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내년까지 780대,2008년까지 4170대의 하이브리드카를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자동차업체를 중심으로 한 산·학·연의 하이브리드카 기술개발에 2010년까지 2767억원, 수소연료전지차 개발에 2318억원을 지원한다.2008년까지 공공기관에 보급되는 하이브리드카에는 보조금을 계속 지급할 계획이다. 올해 350대를 보급하면서 정부가 지급한 보조금은 대당 2800만원 수준이다.
●2007년이면 국내 하이브리드카 구매 가능할 듯
정부는 또 하이브리드카에 대해 특별소비세, 취·등록세, 자동차세 등을 경차수준 이상으로 감면해주고 공용주차장 요금·혼잡통행료 감면, 버스전용차로 운행 등 다양한 혜택을 검토하고 있다. 산업자원부 김진 사무관은 “미국이나 일본처럼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하이브리드카 구매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면서 “2007년 말이나 2008년 초면 일반인들도 하이브리드카를 소량이나마 구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경우 소비자들이 프리우스를 구매할 때 행정보조금 21만엔, 취득세 30만엔, 자동차세 감세액 1만 7000엔 등 52만 7000엔의 혜택을 주고 있다.
하이브리드 기능으로 인한 프리우스의 가격 상승분은 약 44만엔으로, 하이브리드카를 살 경우 오히려 8만엔의 이득을 볼 수 있다.
미국도 최근 에너지관련법안이 통과되면서 업체당 6000대 한정으로 하이브리드카와 가솔린 모델의 가격차를 전액 보전해 주기로 했다.
미국은 또 이미 소득세액 공제나 소비세 공제, 주세 우대, 도로세 면제, 자동차등록세 인하 등 세제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프랑스도 하이브리드카와 디젤차간의 가격 차이분 20%를 지원하고, 이탈리아는 구입후 5년간 도로세 면제 및 보험료 할인 등을 실시하고 있다.
●미국, 일본 따라잡으려면 정책적 지원 절실
이에 반해 우리 정부가 지난해 친환경차 개발 전반에 투입한 예산은 101억원에 불과했다.
이번 5개년 계획으로 예산이 늘어났지만 상황에 따라 기획예산처 등에서 언제든지 삭감될 수 있다.
국회 산업자원위원장인 김용갑 의원은 최근 싼타페 신차 발표회장에서 “수천억원 이상이 들어가는 하이브리드카 개발에 정부가 몇백억원 내놓고 할 일을 다했다고 할 수 있느냐.”며 정부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박홍재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부소장은 “국내 자동차산업은 최근 선진 메이커 대열에 합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고 있지만 향후 세계 자동차시장의 판도를 좌우할 하이브리드카, 연료전지차 등의 기술은 이제 막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면서 “기술 개발 지원은 물론 과거 휴대전화 보급 확대때처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시장을 키울 수 있는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류길상기자 ukelv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