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자유교원조합’ 출범에 거는 기대/한병선 교육평론가·문학박사
광복 이후 우리교육은 곡절을 거듭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결같이 좋은 교육을 말하면서도 이땅에 펼쳐졌던 교육활동은 이와는 거리가 먼 경우가 많았다. 특히 전교조의 이념 편향적 교육과 정치 집단화에 따른 교육현장의 휘둘림 문제는 많은 국민들의 우려와 염려를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이에 그동안 침묵해왔던 많은 교사들과 학부모들은 이런 문제들로부터 학교와 학생들을 지킬 필요가 있다는 내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관련, 최근 탈이념·탈정치를 목표로 출범한 ‘자유교원조합’(이하 자유교조)은 시의적절한 것이며, 여기에 거는 국민들의 기대 또한 클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전교조의 운동논리에 염증을 느낀 많은 교사들과 학부모들의 참여가 기대된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영향력은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자유교조’가 전교조의 대안적인 운동조직이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사항들을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첫째 자유교조는 반드시 중도(中道)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이는 지금까지 우리교육에서 좌우이념의 소모적 논쟁 속에서 침묵했던 다수의 학부모, 교사, 학생들을 대변해야 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념적 극단을 배격하며 항상 균형 잡힌 교육과 실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지금까지 일부 교사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이념적 편향성을 바로잡는 데도 주력해야 할 것이다. 특정 이념교육은 사회의 통합을 저해함은 물론 극단적 투쟁을 부추긴다는 점에서는 사회적 갈등과 혼란의 씨앗이 되고 있음을 우리는 지금까지 봐왔다.
이에 자유교조는 반드시 균형 잡힌 교육을 추구해 나가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여기서 균형잡힌 교육이란 단순히 좌와 우, 혹은 진보와 보수의 중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좌와 우의 주장들을 대승적으로 포용하면서 이들의 상대적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교육발전으로 우려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것이 자유교조의 지향점이며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교육적 통합을 이룰 수 있는 대융합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
둘째 자유교조는 범국민적 교육운동을 지향해야 한다. 범국민적 지지를 받지 못하는 운동은 한계적 집단운동에 머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교사, 학부모 등 중도통합에 뜻을 같이하는 각계각층의 모든 사회 구성원들의 지지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반드시 합리적이며 정당성을 갖는 방법으로 운동을 펼쳐 나가야 한다.
셋째 자유교조는 순수한 교육운동을 지향해야 한다. 정치단체나 이익단체가 아닌 순수한 교육단체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된다는 것이다. 과거 전교조가 참교육을 표방하고 출범하였지만 현재는 그렇지 못한 전철을 같이 밟아서는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탈정치·탈이념이 교육운동의 모토가 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넷째 자유교조는 실용적이며 현실적인 대안제시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비판을 위한 비판,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닌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운동단체로서의 역할을 다할 필요가 있다. 이는 대안적 운동은 물론 책임 있는 운동을 지향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세계는 무한경쟁 체제로 치닫고 있다. 이런 국제질서의 변화는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이미 상당부분 체계화되었고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이제 더 이상 낡은 이념을 두고 싸울 시간이 없으며, 교육현장을 투쟁의 장으로 만들어서도 안 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제 학교에서도 건강한 중도가 교육의 중심점에 있어야 하며 균형 잡힌 교육이 화두가 돼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이번 새롭게 출범하는 자유교조에 거는 국민들의 기대와 희망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한병선 교육평론가·문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