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이라크와 용산 그리고 국가란 무엇인가/이해영 한신대 국제관계학부 교수
국가란 무엇인가. 답하기 결코 쉽지 않은 질문이다. 하지만 유년기부터 우리는 적어도 한 번은 이 질문을 받았고 또 어떤 식으로든 답을 해야 했다. 특히 군 복무 시절이나 아니면 좀 긴 해외여행을 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국가와 민족’, ‘조국’ 등에 대해 꽤 진지하게 한 번씩은 생각해 보았음 직하다.
지난 20세기 초 정당정치가 비로소 자리를 잡기 시작한 유럽 사회에서도 국가란 무엇인가가 난제로 떠올랐다. 그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국가의 일이란 소수의 정치계급 곧 군주나 귀족 그리고 가지고 배운 자들이 알아서 하면 되는 문제였다.
하지만 19세기 말 이래 노동자를 필두로 한 대중이 새로이 정치 전면에 등장하게 되었고, 이들은 스스로 세력화하여 정당을 조직하였다.
이들은 자기 계급이나 계층의 이해를 정치나 정책을 통해 주장하였고 또 관철시켜 나갔다. 대중 정치와 정당의 출현으로 정치도 국가도 심각한 정체성 위기에 봉착했다는 말이다.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20세기 지성사에서 빠트릴 수 없는 한 사람이다. 요즘의 정치적 기준으로 보자면 베버는 아마 중도 좌파, 자유주의 좌파 정도에 자리매김될 수 있을 게다.
그에게도 ‘국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피해갈 수 없는 20세기 정치의 난제 중 난제였다. 하지만 국가를 그 목적을 통해 정의하고자 할 때, 당장 국가는 보수건 진보건 정당은 물론이고 각종의 사회단체들과도 구분이 되지 않는다. 어떤 정당, 사회단체도 그 이전 국가만이 주장할 수 있었던 공공의 이익을 대변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베버의 선택은 그래서 국가가 다른 것과 구분되는 것은 오직 그 ‘수단’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명제였다. 곧 국가란 ‘정당한 물리력의 독점’에 의해 다른 것과 구분된다. 쉽게 말해 다른 정당, 사회단체와 비교해 오직 국가만이 물리력 곧 군대와 경찰과 같은 폭력수단을 독점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말이다.
그러기에 모든 국가는 영토 내에서 다른 정치단체가 스스로 무장하여 도전할 때 ‘반란’으로 규정, 법정 최고형으로 대응한다. 물론 이 폭력의 사용, 곧 공권력의 행사는 반드시 정당하게 정해진 절차에 의거해야 하며 또 그 사용자는 사용의 결과에 대한 책임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러나 지난 세기 말과 이번 세기 초에 걸쳐 우리는 부시의 이라크전쟁에서 물리력의 독점이 깨지는 광경을 목격해야 했다. 각종 전쟁 전문기업들이 미 행정부의 특혜성 아웃소싱을 통해 전쟁 ‘용역’을 수주한 뒤 미군을 도와 이라크 민중에 대한 전쟁을 수행하였다. 이처럼 신자유주의 이윤논리는 전쟁의 사사화(私事化)를 통해 국가의 본질적 기능을 해체시키는 수준까지 전개되고 있다.
용산 참사는 그 본질에 있어 이라크와 다르지 않다. 기본적으로 사인들간의 이해 분쟁에 국가가 개입, 공권력을 함부로 행사해 6인의 목숨을 앗아갔다. 특히 이 과정에서 잘해야 분쟁 당사자 일방에 고용된 일개 사업자에 불과한 용역업체에 공권력의 사용을 아무런 법적 절차도 거치지 않은 채 양도, 위임하는 터무니없는 행태를 보였다.
공권력이 최소한의 중립성과 공정성도 지키지 않을 때, 저항은 궁극적으로 국민 항쟁을 향해 나선적으로 발전해 온 것이 우리 현대사의 큰 흐름이었다. 우리 헌법의 골간에 해당될 이른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사설 용역업체에 대한 공권력의 위임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라크와 용산! 이윤 논리에 눈이 먼 사기업에 의해 제공된 ‘살인 용역’, 공권력이란 이름으로 자행된 무책임의 극치, 뒤를 이은 변명과 거짓말, 이 모든 것이 결국 공권력을 위태롭게 할 뿐이다. 사설업자를 동원해 자국민을 죽음으로 내몬 국가를 국가라 불러야 하나. 정녕 국가란 무엇인가?
이해영 한신대 국제관계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