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물단지’ 삼청각 어떻게 되나?
서울 북악산 자락에 위치한 전통문화공간인 삼청각(三淸閣)이 애물단지가 됐다.
삼청각 소유주인 서울시가 누적적자를 감당못해 민간 위탁운영업체를 모집했지만 적합한 업체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익성을 잣대로 문화를 평가하지 말라는 목소리와 문화공간에도 경영마인드 도입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위탁운영 민간업체 공모 물거품
서울시는 2001년 삼청각을 인수한 뒤 공연부문은 시 산하기관인 세종문화회관에, 식음료부문은 프라자호텔에 운영을 각각 맡겼다. 그러나 매년 10억∼20억원가량의 적자가 쌓이자 서울시는 내년부터 민간업체에 아예 경영을 위탁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지난달 사업자를 공모했었다.
공모 결과 사업설명회 단계에서 국내 유명호텔 등 20여곳이 관심을 보였던 것과 달리 방송프로그램 제작업체인 S프로덕션만 신청서를 냈다. 이에 대해 문화전문가, 시의원 등으로 이뤄진 ‘삼청각 위탁업체 심사위원회’는 3차례 회의를 갖고 지난 20일 만장일치로 부적격 판정을 내렸다.
심사위원회 관계자는 “단일 업체가 신청서를 제출함에 따라 삼청각 임대비용에 대한 가격 협상의 여지가 없어 예상수익이 적었고, 사업계획서 일부는 삼청각이 상업적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비춰질 오해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내년초 위탁업체를 재공모하거나, 세종문화회관에 당분간 경영을 맡기면서 경영효율화 과정을 거친 뒤 위탁업체를 공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추가비용을 들여 삼청각을 다시 단장하지 않는 이상 밑빠진 독에 물붓기 식으로 시민들의 세금을 투입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수익성과 공공성의 딜레마
실제로 세종문화회관이 서울시의 지원만 믿고 경영을 소홀히 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삼청각은 ‘삼청별곡’,‘애랑연가’ 등 가무악극(歌舞樂劇)을 공연하며 우리 문화를 잘 살려낸다는 평을 듣는데도, 객석점유율은 절반을 넘지 못했다. 지난 3일 서울시가 외국인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삼청각에 가봤다.’는 응답자는 457명 가운데 3명(0.6%)에 그쳤다.
이에 대해 이중덕 전국문화예술노동조합 세종문화회관 지부장은 “민간 위탁업체 공모는 삼청각 개관 당시 전통문화 명소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애초의 계획과는 다른 것”이라며 “문화·예술 부문은 수익성의 잣대로만 볼 것이 아니라 공공성의 시각으로 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1970,80년대 ‘요정정치’의 산실이었던 삼청각은 2001년 리모델링을 거친 뒤 ‘숲속의 전통문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났다.
5800여평의 산자락에 자리잡은 삼청각에는 6채의 한옥이 있다. 일화당(一和堂)에는 공연장, 한식당, 전통찻집이 들어섰고 청천당(聽泉堂)과 천추당(千秋堂)은 다례, 도자기, 규방공예 등 전통문화체험장으로 쓰이고 있다. 유하정(幽霞亭)은 명인들의 국악 상설강좌, 소규모 국악무대가 열리는 정자이고, 취한당(翠寒堂)과 동백헌(東白軒)은 안방 사랑방 마루 등을 갖춘 전통 한옥이다.(02)3676-3456.
김유영기자 carilip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