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중 차기 6者·외무장관 회담
|베이징 김미경특파원|4개월 만에 재개된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회의가 20일 ‘8월 중 실무그룹회의,9월 중 차기 6자회담 및 6자 외무장관회담 개최’를 담은 언론발표문을 내고 폐막하면서 향후 비핵화 로드맵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 이번 회담은 북한의 영변 핵시설 폐쇄 이후 2단계 조치인 핵 프로그램 신고 및 핵시설 불능화 의지를 재확인하고 구체적인 로드맵을 협의했다는 점에서 첫 단추를 끼웠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초 기대됐던 신고 및 불능화의 이행 시한 및 시간표를 합의하지 못한 채 실무그룹회의 및 차기 6자회담으로 공을 돌림에 따라 2단계 이행 과정이 험난할 전망이다. 의장국인 중국 우다웨이 외교부 부부장은 이날 사흘간 진행된 6자 수석대표회의를 결산한 언론발표문을 통해 “회담국들은 오는 9월 초 차기 6자회담을 열고, 이어 가능한 한 빨리 베이징에서 6자 외교장관회담을 열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4개항으로 구성된 발표문에 따르면 6자는 차기 6자회담에 앞서 다음달 중 비핵화 및 에너지·경제협력, 동북아 평화·안보체제, 북·미, 북·일 관계 정상화 등 5개 실무그룹회의를 모두 개최,2단계 합의 이행을 위한 계획을 협의하기로 했다. 발표문은 또 9월 초 열릴 예정인 6차 2단계 6자회담에서 참가국들은 실무그룹회의 결과를 보고받고 합의사항 이행을 위한 ‘로드맵’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명시했다. 정부 당국자는 “우리나라가 의장국인 경제·에너지협력 실무그룹회의는 8월6일쯤 개최하자고 제안할 것”이라며 “러시아가 의장국인 동북아 평화·안보체제 실무그룹회의는 8월 셋째주쯤 열릴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서 합의되지 못한 신고·불능화 시한 및 시간표는 다음달부터 연쇄적으로 열릴 실무그룹회의와 6자회담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북한은 “나머지 5개국이 제때 상응조치를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한·미 등은 “북한이 불능화를 충실히 이행하면 상응조치는 당연히 제공된다.”며 서로의 의무와 책임을 먼저 강조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특히 핵 신고 과정에서 제기될 북한의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문제는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로 남는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 김계관 부상이 양자협의에서 ‘없는 것을 있다고 할 수 없고, 있는 것을 없다고 하는 것도 요술’이라고 말했으며, 진실하게 모든 것을 신고하겠다고 밝혔다.”며 핵 신고·불능화 이행에 대한 자신감을 보였다.chaplin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