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에서 또 AI, 철새도래지 방역 비상
경기 여주시 농장에서 또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는 등 지난달 26일 전북 정읍에서 시작된 AI가 무섭게 확산되고 있다. 자치단체들은 철새 분변 등을 원인으로 추정하고 야생조류 도래지를 중심으로 방역을 강화하고있다.
여주시는 가남읍 메추리 농장에서 ‘H5형’ AI 항원이 검출됐다고 9일 밝혔다. 시는 고병원성 여부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에 해당 농가와 반경 3㎞ 이내 7개 농가의 닭과 메추리·오리 등 가금류 63만6000여마리를 이날 살처분키로 했다. 인근 농가 살처분은 방역지침상 전파력과 폐사율이 높은 고병원성으로 확인될 경우 진행하는 데 시가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올들어 국내에서 고병원성이 확인된 농가는 현재 전북 정읍, 경북 상주, 전남 영암, 경기 여주, 음성 금왕, 전남 나주 등 총 6곳이다. 이들과 반경 3㎞ 이내 농가 등 총 42농가 309만여마리는 살처분됐거나 살처분 예정이다.
AI 전국 확산으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지자체들은 방역강화에 나서고 있다.
충북도는 미호천, 보강천, 무심천 등 3개 주요하천 7곳에서 진행하던 철새 도래지 소독을 농가 주변 소하천까지 확대해 대상을 40여곳으로 늘릴 방침이다. 또한 농가소독을 주로 했던 공동방제단을 철새도래지에도 투입하기로 했다. 전남도는 철새도래지 소독강화와 함께 철새분변의 농장유입을 차단하기위해 관내 오리농장 180곳에 모두 초소를 설치해 미소독 차량의 출입을 차단키로 했다. 증평군은 하천변 소독을 1일 1회에서 3회로 늘렸다. 정부는 각 지자체에 광역방제기, 무인헬기, 드론, 살수차 등을 지원하고 있다. 충북도 관계자는 “철새도래지 주변 농가들이 확진되고 있어 사람이나 자동차, 쥐 등이 철새분변을 묻혀 유입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철새를 못오게 할수 없어 도래지 통제초소 운영과 소독강화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여주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