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소프트캠프
    2025-04-10
    검색기록 지우기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
  • [서울데이터랩]웹스, 상한가 기록하며 1위 등극

    [서울데이터랩]웹스, 상한가 기록하며 1위 등극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웹스(196700)(082270)가 등락률 +30.00%로 1위를 차지했다. 웹스의 현재가는 1,781원이며, 전 거래일 대비 411원이 상승했다. 소프트캠프(258790)는 등락률 +30.00%로 1,612원에 거래를 마쳤고, 아즈텍WB(032080)는 +29.98%의 등락률로 1,769원을 기록했다. 유라클(088340)은 18,570원으로 +29.95%의 등락률을 보였으며, 상지건설(042940)은 +29.93%로 5,340원에 장을 마감했다. 유일로보틱스(388720)는 +28.08%의 등락률로 92,600원을 기록했으며, 웹케시(053580)는 +26.96%의 등락률로 14,080원에 거래를 마쳤다. 미트박스(475460)는 13,750원으로 +22.44%의 등락률을 보였고, 에르코스(435570)는 +20.00%의 등락률로 9,060원을 기록했다. 유라테크(048430)는 +18.63%의 등락률로 10,7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웹스는 전 거래일 대비 411원 상승하며 6,114,236의 거래량을 기록했다. PER은 21.46, ROE는 3.36%로 나타났다. 소프트캠프는 372원이 상승했고, 거래량은 8,663,053이었다. PER은 179.11, ROE는 1.96%였다. 아즈텍WB는 408원이 상승했으며, 거래량은 6,243,728을 기록했다. PER은 -18.62, ROE는 -1.90%로 나타났다. 유라클은 전 거래일 대비 4,280원이 상승했고, 4,552,676의 거래량을 보였다. PER은 35.44, ROE는 9.84%였다. 상지건설은 1,230원이 상승하며 40,013의 거래량을 기록했고, PER은 0.78, ROE는 -27.36%로 나타났다. 유일로보틱스는 전 거래일 대비 20,300원이 상승했고, 거래량은 1,826,685였다. PER과 ROE는 각각 -105.23, -13.94%로 나타났다. 웹케시는 2,990원이 상승하며 6,474,045의 거래량을 기록했고, PER은 26.82로 나타났다. 미트박스는 2,520원이 상승했고, 거래량은 11,251,660이었다. PER은 34.03, ROE는 11.52%로 나타났다. 에르코스는 1,510원이 상승하며 3,652,931의 거래량을 기록했고, ROE는 2.67%였다. 유라테크는 전 거래일 대비 1,680원이 상승하며 4,345,424의 거래량을 보였다. PER은 9.22, ROE는 9.57%로 나타났다.
  • SK쉴더스, 공공/금융권에 제로트러스트 체계 구축한다

    SK쉴더스, 공공/금융권에 제로트러스트 체계 구축한다

    SK쉴더스(대표 홍원표)는 자체 개발한 SKZT(SK쉴더스 제로 트러스트 방법론)을 기반으로 공공과 금융권에 제로트러스트 체계를 구축한다고 8일 밝혔다. 제로 트러스트는 ‘아무도 믿지 않고 모든 것을 의심하고 확인한다’는 기본 철학을 전제로 한 보안 모델로 사이버 위협이 고도화되며 등장한 개념이다. SK쉴더스는 제로 트러스트 관련 글로벌 전문 업체 10개 기업과 제로 트러스트 연합 ZETIA(제티아, Zero Trust Initiative Alliance)를 발족하고 제로트러스트 시장의 주도적인 개척 및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협의체 구성은 제로 트러스트 5대 영역인 △ID/인증(SGA솔루션즈, 시스코), △Micro-Segmentation(아카마이&엔큐리티, SGA솔루션즈), △SDP(지니언스, 소프트캠프, 팔로알토), △로그 수집/분석(시큐레이어, 다이퀘스트, 클럼엘), △AI 이상징후 분석(인텔리코드, 클럼엘)의 대표 기업 10개사가 참여한다. SK쉴더스는 공공, 금융, 제조, 통신 등 어떤 산업 분야의 고객이든 손쉽게 제로트러스트를 도입할 수 있도록 SKZT(SK쉴더스 제로트러스트 방법론)을 개발했다. SKZT는 국내외 이미 공표된 다양한 가이드라인의 분석과 해당 가이드라인에서 요구하고 있는 항목의 구현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로트러스트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실제 SK쉴더스는 대형 시중은행과 공공기관에 제로트러스트 모델을 구성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이 비대면/디지털화되며 보안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고, 업무를 회사에서만 보는 것이 아닌 재택/클라우드/모바일 등 다양한 업무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어 이에 대비할 수 있는 보안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SK쉴더스는 앞으로 ZETIA의 운영을 주도하며 강점인 컨설팅 역량을 바탕으로 제로 트러스트 성숙도 모델 개발, 단계별 구축 방법론 제시, 솔루션 구축, 관제, 운영 등 사업 모델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협의체 기업과 공동 마케팅 활동과 세미나, 동향 보고서 발간 등도 예정되어 있다.
  • 59P 뚝… 코로나에 파랗게 질린 코스피

    연일 오름세를 보이며 2400선을 돌파했던 코스피가 코로나19의 재확산 여파로 18일 뚝 떨어졌다. 반면 진단키트와 마스크 관련 주는 급등하며 연초 강세장을 재연한 듯했다. 18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59.25포인트(2.46%) 하락한 2348.24에 장을 마쳤다. 지난 6월 15일(-4.76%) 이후 2개월여 만에 가장 큰 하락폭이다. 코스닥지수도 34.81포인트(4.17%) 급락한 800.22에 마감했다. 이날 유가증권 시장에서는 그동안 주가 상승을 이끌었던 개인이 적극적인 매도로 하락을 주도했다. 개인투자자는 5269억원어치 순매도한 반면 기관이 4781억원, 외국인이 722억원 각각 순매수했다. 이날 상승 종목은 66개뿐이었고, 하락 종목은 827개였다. 특히 전기가스업(-6.00%)과 운수창고(-5.53%), 유통업(-5.44%), 운송장비(-5.01%), 건설업(-5.20%) 등은 5% 이상 급락했다. 하지만 코로나 진단키트, 마스크, 온라인 교육 등 감염병이 확산되면 수요가 늘어나는 종목의 주가는 급등했다. 진단키트업체 엑세스바이오의 최대주주인 우리들제약은 상한가(29.88%)까지 치솟은 1만 5650원에 거래를 마쳤다. 다른 진단키트업체인 바이오니아와 필로시스헬스케어, 백신업체 유바이오로직스, 마스크업체 웰크론 등도 상한가를 쳤다. 또 GH신소재(27.86%), 깨끗한나라우(26.68%), 모나리자(22.20%) 같은 마스크 주도 대거 급등했다. 재택근무 관련 주 가운데 사이버 보안업체인 소프트캠프(29.85%)가 상한가로 치솟았고, 온라인교육 관련 주인 YBM넷(29.52%)도 상한가로 마감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0.25%) 같은 바이오 주와 네이버(0.82%), 카카오(4.28%) 등 언택트 주가 상승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 단돈 83만원에 주가 출렁… 시장기능 못하는 코넥스

    단돈 83만원에 주가 출렁… 시장기능 못하는 코넥스

    일평균 거래량도 15만여주 그쳐 전문가 “소수가 지분 대부분 소유 시장의 가격발견 기능 떨어져” 지난달 31일 코넥스 시장에서 정보기술(IT) 보안업체인 소프트캠프의 주가는 하한가(5950원)로 출발해 장중 상한가(8050원)로 직행했다. 거래량은 불과 103주, 83만여원의 거래대금이 한순간 주가를 30% 넘게 끌어올렸다. 특별한 호재로 주가가 요동친 것은 아니었다. 소프트캠프는 지난달에만 상한가 여섯 번, 하한가 네 번을 기록했다. 이런 종목들이 코넥스 시장에는 부지기수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넥스 시장에 상장된 기업은 113곳으로 시가총액은 4조 5848억원이다. 코넥스는 코스피, 코스닥에 이은 ‘제3 주식시장’으로 초기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들의 자금 조달을 돕는 창구다. 2013년 7월 21개 상장사, 시가총액 4689억원으로 문을 연 지 3년여 만에 상장사는 5배 이상, 시가총액은 10배 이상 불어났다. 그러나 훌쩍 큰 외형에 비해 시장 활성화는 요원하다. 코넥스 시장의 일평균 거래량은 올 1월 15만 8000여주, 2월 15만 1000여주를 기록했다. 개장 첫 달 일평균 7만 1000여주가 거래되던 것에서 2배 남짓 성장하는 데 그쳤다. 3월에는 23만주로 늘었지만 지난해 7월 수준을 회복했을 따름이다. 코넥스 상장종목 3개 중 1개는 하루에 거래가 한 건도 없을 정도다. 금융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코넥스 시장의 상장주식 회전율은 0.04%로 코스닥 시장(2.56%)에 한참 못 미쳤다. 상장주식 회전율은 거래량을 전체 상장주식 수로 나눈 값이다. 코넥스 시장에서 주식 1주가 하루 평균 0.04회 거래됐다는 뜻이다. 이보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넥스 시장에서는 시장의 가격 발견 기능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며 “모험자본 중간회수처라는 코넥스 시장의 기능이 저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넥스 종목들은 거래가 부진할 수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가 있다. 지두환 한국거래소 코넥스시장운영팀장은 “코넥스 종목 자체가 기업공개(IPO)를 통해 상장된 종목이 아니라 대주주와 벤처캐피털(VC) 등 소수가 대부분의 지분을 갖고 있어 실제 유통되는 주식 비중이 작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상장기업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것도 활성화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거래소 홈페이지에는 지난해 12월 22일 툴젠과 알엔투테크놀로지를 끝으로 코넥스 상장사 분석 보고서가 올라오지 않고 있다. 금융 당국과 한국거래소는 코넥스를 대표하는 지수 개발 추진 등 활성화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 집념의 공학도들 200억 ‘대박’

    “우리 일본 가요!” 대학생들이 아르바이트로 방세를 벌어가며 천신만고 끝에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일본 전역으로 수출된다. 소프트웨어 벤처기업 ㈜소프트캠프는 일본 최대의 반도체 기업인 NEC에 자체 개발한 컴퓨터시스템 보호프로그램 ‘PC-키퍼2’ 200억원 어치를 주문자상표부착(OEM)방식으로 공급키로 하고 25일 NEC와 계약 조인식을 가졌다.PC-키퍼2는 윈도를 비롯해 PC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가 파손되거나 삭제되더라도 완벽하게 복구해주고,설치와 동시에 바이러스 감염도 막아주는보안제품. 다음달부터 1년에 40만개씩 2년 동안 80만개가 일본 전역에서 판매될 예정이다.지난해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국내 소프트웨어업체가 한글과컴퓨터와 안철수컴퓨터바이러스연구소 등 2개사에 불과했던 점에 비추어 이번수출은 엄청난 성공으로 평가받고 있다. 개발팀은 모두 중앙대 컴퓨터공학과 선후배 사이.90학번인 배환국(裵桓國·29)사장을 비롯,모두 서른살 미만의 90년대 학번들이다.이들은 컴퓨터학원강사,과외 아르바이트 등을 통해서울 흑석동 학교 앞에 10평 남짓한 작업실을 얻어 제품을 개발해왔다.작업에 사용한 컴퓨터도 고작 3대뿐.그나마 남이 안쓰는 중고 PC를 얻어다 일부를 개조해 썼고,자리를 펼 공간이 없어 책상에 앉아서 잠을 자야 할 때도 많았다. 배 사장은 “식사를 거른 적도 한두번이 아니고,교통비가 없어 먼 거리도걸어다녀야 할 만큼 어렵게 개발한 제품이어서 더욱 기쁨이 크다”면서 “지난 1년 동안 믿고 따라준 후배들이 고맙다”고 말했다. 김태균기자 windsea@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