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야 출소” 악명 높은 ‘이곳’을 다시 열겠다는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범죄자를 가두고자 ‘감옥 섬’으로도 알려진 캘리포니아주의 앨커트래즈섬 교도소를 60여년 만에 다시 열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은 너무 오래 잔인하고 폭력적이며 재범을 일삼는 범죄자, 사회에 비참함과 고통만 초래하고 절대 아무것도 이바지하지 못할 쓰레기 같은 존재들에 고통받아 왔다”고 적었다.
이어 “우리가 더 심각한 국가였을 때, 과거에는 가장 위험한 범죄자들을 가둬 그들이 해를 끼칠 사람으로부터 멀리 떨어뜨리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면서 “원래 그렇게 해야 한다. 우리는 거리에 더러움과 유혈사태, 혼란을 퍼뜨리는 연쇄 범죄자들을 더는 용납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그것이 오늘 내가 연방교도국에 법무부, 연방수사국(FBI)과 함께 앨커트래즈를 대대적으로 확장·재건해 다시 열어 미국에서 가장 잔인하고 폭력적인 범죄자들을 수용하도록 지시한 이유”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우리는 범죄자와 흉악범, 우리나라에 불법으로 들어온 범죄자를 내쫓는 것은 우리에게 허용하지 않고 자기 일을 수행하지 않는 판사들에게 더는 인질로 잡혀 있지 않겠다”며 “앨커트래즈 재개소는 법과 질서, 정의의 상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지시는 비용 문제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연방교도국은 비슷한 인프라 문제로 다른 교도소를 폐쇄하고 있기 때문이다. AP 통신은 앨커트래즈 교도소가 다시 문을 열려면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샌프란시스코만에 있는 작은 섬에 있는 앨커트래즈 교도소는 1934년부터 1963년까지 29년간 연방 정부의 교정 시설로 운영됐다. 재소자 권리 보장 등이 최악인 데다 섬 주변을 둘러싼 해류와 차가운 바닷물 탓에 탈출이 불가능한 곳으로 인식돼 있었다.
마피아 두목인 알 카포네와 금주법 시대에 밀주업자로 활동한 ‘머신건’ 조지 켈리, 아일랜드계 갱단 두목인 화이티 벌저 등 악명 높은 중범죄자들이 갇혀 있었는데 총 36명이 14차례 탈출을 시도했지만 거의 모든 시도가 실패로 끝났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이 교도소는 숀 코너리와 니컬러스 케이지 주연의 ‘더 록’ 등의 영화 소재가 되기도 했다. 현재 박물관으로 사용되는 이 시설이 있는 섬은 관광지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