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선 이기는 게 중요… 대통령에 직언 안 한 분들이 계엄 유발자” [대선주자 인터뷰]
‘한덕수 차출’은 기득권 연명 위한 것이재명 대통령 땐 권력 ‘퍼펙트 스톰’보수 이기려면 시대정신 올라타야10시간 만의 후원금, 왜 생돈 냈겠나많은 분들 승리 염원 느껴져 책임감집권 땐 경청·개헌, 임기 3년만 할 것6·3 대선 국민의힘 4인 경선에 오른 한동훈 국민의힘 후보는 23일 “이기는 선택은 한동훈이라는 집단적 지지가 모이고 있다”며 승리를 자신했다. 한 후보는 당대표가 대통령과 각을 세워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을 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민심을 거스를 때 직언하지 않은 분들이 오히려 계엄 유발자”라고 했다. 한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민먼저캠프’에서 진행한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우리 지지층은 윤석열 신당이나 기득권 정치인의 연명을 위한 한덕수 차출론에 호응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경선 ‘빅4’ 대진표는 만족하나.
“저는 경선에서 이기려고 나온 게 아니라 본선에서 이기려고 나왔다. 대충 예상되는 결과였다고 생각한다. 29일 4자 경선에서 끝내려고 한다. 4인에서 끝내겠다는 것은 저를 위해서가 아니라, 그것이 국민의힘의 승리를 위해서 좋은 일이라 생각한다.”
-4강 진출 후 공개 지지가 늘고 있는데.
“우리에게는 지난 몇 달 동안 마음 아픈 일이 많았다. 하지만 지금 우리에게 절실히 필요한 것은 이기는 선택이고, 결국 국민들의 집단적인 의지가 모이고 있다고 본다. 여론조사 추이가 많이 바뀌고 있다.”
-‘한덕수 차출론’은.
“지금 경선 과정이 진행 중인데 다른 카드를 찾자는 이야기가 당에서 나오면 안 된다. 그게 바로 패배주의다. 현장에서 만나는 분들은 정말 절실한데 정치인들이 오히려 절실하지 않은 것 같다. 일부 기득권 정치인들이 이번 선거의 승리가 아닌 연명을 원하는 것 같은데 우리 지지층은 절대 그렇지 않다.”
-본선에서 선거 연대 가능 범위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생각과 방향이 같은 분들, 그리고 왜 이겨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공유하며 공통점을 찾아야지 차이점을 찾을 때가 아니다.”
-이재명 민주당 후보를 이길 수 있나.
“이미 국민들은 이재명이 어떤 사람인지 잘 안다. 그 사람이 무슨 말을 해도 ‘이재명이라서’ 의구심을 가진다. 그분이 대통령이 되면 행정권 갖고, 입법권 갖고, 거기에 헌법재판관까지 임명하면 ‘퍼펙트 스톰’ 같은 권력을 갖게 된다. 자신의 리스크를 타개하기 위해 그런 강력한 권한을 쓰지 않을 리 없다.”
-왜 한동훈인가.
“이 구도에서 이 후보를 이기려면 시대정신에 올라타야 한다. 내가 나서지 않았다면 그날 밤 계엄은 저지되지 않았을 것이다. 나는 시대정신을 따랐다. 자당이 배출한 대통령이라도 위헌적 행동을 하면 막는다는 책임감을 보였다. 그런 보수 정신을 지킨 사람만이 이번 선거에서 시대정신을 대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분들은 심지어 윤 전 대통령 개인을 지키자고 하지 않았나.”
-한동훈이 계엄을 유발했다는 주장도 있다.
“내가 계엄을 유발했다? 그런 의미가 혹시 윤 전 대통령이 민심을 거슬렀던 김건희, 이종섭, 황상무, 명태균, 김경수, 의료 사태, 연구개발(R&D)에 대해 제가 직언을 했다는 것이라면 ‘부끄러운 줄 알라’라고 말하고 싶다. 그때 왜 저를 혼자서만 그런 말을 하게 놔 뒀는가. 그때 그분들이 저와 함께했다면 윤 전 대통령이 바뀌고, 계엄도 발생 안 했을 수 있다. 계엄은 오히려 그분들이 유발한 것 아닌가.”
-이번 대선에서 ‘윤석열 변수’는.
“‘윤석열 신당’이라는 게 우리 지지층이나 당원들에게 호응을 받고 있는지 묻고 싶다. 저는 참 아쉬운 부분이 최근 재판에서 했던 대통령 말씀 중에 계엄에 동원된 군인들에게 책임을 미루는 듯 오해할 수 있는 말을 하고 있다. 너무 안타깝다. 정말 너무 안타깝다.”
-29억 4000만원 후원금 법정 한도를 하루 만에 채웠다.
“10시간 만에 모인다는 생각은 못 했고 법정 한도가 다 차겠나 걱정했다. 생각해 보면 정치에 왜 자기 생돈을 내나. 굉장히 적극적인 의사 표시다. 정말로 저라는 도구를 통해 승리하고 싶어 하시는구나 생각했다. 평균 1인당 8만원 정도를 냈는데 누군가는 그걸 소액이라고 표현하더라. 소액 절대 아니다. 책임감과 두려움을 느낀다.”
-세 번째 전국 선거(4·10 총선, 7·23 전대, 6·3 대선)다.
“현재의 이런 (불리한) 민심 구도에서는 대형 선거를 제가 가장 많이 지휘하고 치러 본 사람이다. 지금 국민들이 어떤 마음인지는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좋은 나라, 우상향, 중산층이 잘 사는 나라를 만들고, 그러면서도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는 나라를 만들어 주기를 바라는 민심을 받들고 가겠다.”
-집권한다면 한동훈 정부가 절대 하지 않을 일은.
“경청하겠다. 내 생각만 앞세우지 않겠다. 그리고 줄 세우지 않겠다. 나는 개헌 약속과 함께 임기를 3년만 하겠다고 약속했다. 절대 그 시간에 딴 생각하지 않고 집중하겠다. 절실하고 절박하게 이 나라를 바로 세우겠다. 절벽에서 뛰어내린다는 각오로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