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의 한숨… 장바구니 물가 9.7% 올랐다
전셋값·서비스 물가 줄줄이 올라
신선식품, 전셋값, 하수도 및 대중교통요금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소비자물가지수가 두 달 만에 1%대 상승률을 회복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 올랐다. 2014년 12월부터 11개월째 0%대를 이어오다 지난해 11월(1.0%)과 12월(1.3%) 1%대로 올라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 1월 다시 0%대로 내려갔다가 지난달 1%대를 회복한 것이다.
물가 상승률은 겨우 1%대를 회복했지만, 서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하는 물가는 크게 올랐다. 생선, 조개류, 배추, 상추, 사과, 배 등 대표적 장바구니 물가인 신선식품지수가 9.7% 올랐다. 2013년 1월(10.5%) 이후 37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신선식품은 서민들이 자주 사는 물품이지만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가중치(1000.0) 중 비중이 약 4%(40.7)에 그쳐 실제 물가상승률에는 크게 반영되지 못했다.
농축수산물은 5.6% 상승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양파가 118.6% 급등했고 파(83.8%), 배추(65.5%), 마늘(48.9%), 무(43.7%) 등의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집세는 2.9% 올랐는데, 전세는 4.1%, 월세는 0.4% 상승했다. 그 결과 생활물가지수는 0.9%(전·월세 포함 1.2%) 올랐다. 2014년 7월(1.4%) 이후 19개월 만에 최고치다.
서비스 물가도 2.4% 올라 2012년 1월(2.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았던 지난달과 같았다. 공공서비스 중 하수도요금(22.8%), 전철요금(15.2%), 시내버스요금(9.6%) 등의 상승폭이 컸고, 개인서비스에선 외식 소주값(11.4%), 학교 급식비(10.1%)가 많이 올랐다.
반면 공업제품(-0.2%), 전기·수도·가스 요금(-8.0%), 가스연결비(-14.8%), 국내 항공료(-5.0%) 등은 하락했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통계과장은 “농축수산물은 지난달 한파와 폭설로 공급이 줄고 설이 끼면서 수요는 늘고 조업 일수가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며 “서비스는 전세, 시내버스요금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다”고 말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