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문영옥씨
    2025-05-08
    검색기록 지우기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
  • [부고]

    ●이재희씨 별세, 이문화(삼성화재 대표이사)씨 부친상=30일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발인 4월 1일. (02)3410-3151 ●임만영씨 별세, 김형준(한국수출입은행 경영기획본부장)·숙희·숙찬·민정·연희씨 모친상, 윤도희(에코프로 고문)·박태진(사업)·안병주(기아자동차)씨 장모상, 김희선씨 시모상=30일 경북 영주 국화원 장례식장, 발인 4월 1일. (054)633-4441 ●홍순길씨 별세, 홍영(현대해상 해외사업본부장)씨 부친상=30일 천지장례식장 문화관, 발인 4월 1일. (062)527-1000 ●강병훈(이화학원 명예이사장·남산교회 원로목사)씨 별세, 강혜경·혜영·신환·혜진씨 부친상, 이성복·이인석씨 장인상=30일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발인 2일. (02)2227-7580 ●김창길씨 별세, 김성태(전 쌍방울그룹 회장)씨 부친상 = 31일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발인 2일. (02)2072-2020 ●김영도(제13대 국회의원)씨 별세, 문영옥씨 남편상, 김경일(대하산업 대표)씨 부친상=31일 중앙대병원 장례식장, 발인 2일. (02) 860-3505
  • 김만덕상에 30년 무료간병 변명효·통큰 기부 문영옥씨 선정

    김만덕상에 30년 무료간병 변명효·통큰 기부 문영옥씨 선정

    30년 가까이 무료간병봉사를 해온 변명효씨와 20여년 넘게 부를 사회에 환원해 온 문영옥씨가 김만덕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44회 제주도 김만덕상 수상자로 봉사 부문에 변명효 씨, 경제인 부문에 문영옥 씨가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봉사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변 씨는 1994년부터 29년간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실천해왔다. 1994년 무료간병봉사를 시작으로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물품과 후원금 지원 활동을 지속적으로 해왔으며, 2002년 한올간병봉사회를 창단한 이후 현재까지 제주의료원에서 무료 간병봉사를 지속하고 있다. 매주 노인전문병원과 의료원에 입원한 환우에게 개인위생과 심신의 안정을 위해 목욕 및 말벗봉사도 진행중이다. 이외에도 장애인 관광 도우미 센터, 요양원 및 장애인시설 레크레이션, 중식 봉사, 제주국제공항친절서비스 등의 활동을 꾸준히 지속하고 있다. 경제인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문 씨는 서귀포시에서 자영업을 하면서 지역사회를 위해 약 2억 7000만 원을 기부하는 등 2003년부터 삼성여자고등학교, 남주고등학교,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등 학교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힘써왔다. 또한 2014년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 후원금 1억원을 약정해 현재까지도 지역사회를 위해 개인의 부를 지역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2021년에는 모범납세자로 선정돼 모범납세 문화 정착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2010년 나너우리 봉사단을 창단하는 등 지역사회에서 봉사활동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조선시대때 나눔을 실천한 김만덕(金萬德·1739∼1812년)을 기리는 이 상은 1980년에 제정됐으며 2006년에는 제주특별자치도김만덕상 조례로 전부개정해 경제인부문을 추가하고 도외로까지 확대 시행 중이다. 김만덕은 조선 후기 1794년(정조 18년) 제주에 흉년이 들자 전 재산을 털어 사들인 곡식을 나눠줘 굶주림에 허덕이던 백성을 구했다. 이를 전해 들은 정조는 김만덕에게 내의원(內醫院)에 속한 여의(女醫) 가운데 으뜸인 ‘의녀반수’(醫女班首)라는 벼슬을 내렸다. 한편 시상은 오는 22일 오전 10시 사라봉 모충사에서 거행되는 ‘제44회 만덕제 봉행’과 함께 진행된다.
  • ‘서울 중구를 빛낸 인물’에 선정된 문영옥씨

    ‘서울 중구를 빛낸 인물’에 선정된 문영옥씨

    올해 ‘서울 중구를 빛낸 인물’로 선정된 문영옥(55·신당5동)씨는 영화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틀림없이 나타난다 홍반장’의 주인공을 꼭 빼닮았다. 어려운 이웃을 위해 옷소매를 걷어붙이고, 궂은 일을 도맡아 처리하는 모습이 마치 영화 속의 주인공 ‘홍반장’을 보는 듯하다. ●새벽엔 방앗간 일… 낮엔 봉사활동 문씨의 별명은 ‘슈퍼우먼’ ‘잠이 없는 여자’다. 주민들은 새벽에 방앗간 일을 하고, 낮 시간에는 지역 봉사활동을 나서는 그에게 이런 별명을 붙여줬다.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에는 어김없이 ‘문 통장’ 그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지난 1997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9년 동안 통장을 맡았고, 올해부터는 주민자치위원으로 활동하며 동네 축제와 노인잔치, 체육대회 등 동네 안살림을 꼼꼼하게 챙기고 있다. 여기에 청소년협의회 부회장으로서 가정형편이 어려운 청소년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하고, 한 달에 두번씩 동네 유해업소 야간순찰을 돈다. 이뿐만이 아니다. 마을문고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책을 관리하며 아이들에게 책을 대여해주고, 문고를 찾은 아이들에게 한문공부도 시킨다. 또 새마을부녀회 회원으로 동네 행사 때마다 자신이 운영하는 방앗간에서 떡과 밥을 지어 내놓는다. 최근에는 매주 중구 장애인복지회관을 찾아가 장애인과 노인들에게 발마사지 봉사를 펴고 있다.“방앗간 일이 밤낮이 없다 보니 종종 밤을 새우거나 새벽까지 일하죠. 그래서인지 하루 2∼3시간 잠을 자는 게 습관처럼 됐어요. 동네 아주머니들과 수다를 떨고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는 봉사활동이 더 보람있지 않나요.” ●애향심 깊은 중구 토박이 그가 봉사활동을 시작한 이유는 간단하다. 그가 나고 자란 고향이라는 이유 때문이다. 그는 할아버지 때부터 100년이 넘게 이곳에서 방앗간 ‘떡사랑’을 운영한 토박이다.‘백학이 놀던 마을’이라 붙여진 ‘백학동’(현 신당 5동)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중구에 있는 서울신문과의 인연도 남다르다. 그는 1973년 서울신문 사옥에서 결혼했고, 형부(박기동·서울예전 문예창작과 교수)가 1972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됐다. “남들은 대대로 방앗간을 하면 돈을 많이 벌었을 것이라고 하는데 전 돈 욕심이 없어요. 누군가 지역을 위해 봉사해야 원만하게 돌아가죠.” ●치매 시어머니 7년 병수발 그는 타고난 효부다. 지난 2000년 10월 뇌경색으로 쓰러져 반신불수에 치매증상이 겹친 시어머니(82·10월 별세)를 남편 임윤빈(59)씨와 7년간 지극정성으로 간병했다. 맏며느리가 아닌 둘째 며느리인데도 결혼 이래 30년간 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병으로 쓰러진 뒤 매일 대소변은 물론 시간이 날 때마다 재활운동과 공원산책, 한방치료 등을 하루도 거르지 않았다. 구청에서 효행상 수상자로 선정했다는 통보를 받고 ‘당연한 일을 한 것’이라며 상을 거부했으나 주변의 적극적인 권유로 지난달 12일 구민의 날 행사에서 효행상을 받았다. “어차피 인생은 빈 손으로 와서 빈 손으로 가는 것 아닙니까. 내가 태어나고 자란 고향을 위해 죽는 날까지 봉사할 생각입니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