젓갈 미생물은 어떤 구실 할까
김치, 된장, 청국장, 젓갈, 가자미식해, 식초…. 맛깔스럽고 몸에도 좋은 발효음식은 그 우수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세계인의 입맛까지 사로잡고 있다. 하지만 요즘 어린이들에게 발효음식은 여전히 낯선 존재. 피자나 햄버거 같은 ‘외래’음식을 찾는 게 현실이다.‘썩었다고? 아냐 아냐!’(벼릿줄 글, 조위라 그림, 창비 펴냄)는 그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 어린이들이 발효음식과 `친구´가 되도록 도와준다. 발효 미생물들이 한데 모여 팔도 사투리를 섞어가며 두런두런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구성이 흥미롭다. “콩아 콩아 노란 콩아. 어서 끓제 뭣 헌다냐. 몸 약헌 우리 손녀 너로 약 삼을란다.” 할머니의 노랫소리에 맞춰 삶아진 콩을 아랫목에서 사흘 밤낮 발효시켜 청국장을 만드는 것이 ‘바실루스 서브틸리스’의 역할. 그러면 ‘스토렙토코쿠스’라는 발효 미생물은 어떤 구실을 할까. “그라이까네 이렇게 더운 여름날 밥맛이 없으믄 가자미식해가 생각나는 거 아임매.” 고춧가루, 엿기름, 무, 가자미, 조밥 등을 조물조물 섞어 만든 가자미식해를 삭히는 게 이 미생물의 몫이다.이 책을 지은 벼릿줄은 강민경, 김란주, 김은재, 안순혜, 황복실 등 동화작가 5명이 모여 만든 창작집단. 그물의 위쪽 코를 꿰어 오므렸다 폈다 하는 줄이 바로 벼릿줄로, 그물을 만들 때 꼭 필요한 벼릿줄처럼 어린이들에게 꼭 필요한 글을 쓴다는 취지에서 이런 이름을 붙였다.1만 2000원.김종면기자 jm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