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덕성우
    2025-04-14
    검색기록 지우기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
  • “반드시 탄핵” 이재명株 연일 급등… “탄핵 안 된다” 한동훈株 급락

    “반드시 탄핵” 이재명株 연일 급등… “탄핵 안 된다” 한동훈株 급락

    李 수혜주, 2거래일 연속 상한가투자자 ‘차기 대선 주도권’ 베팅계엄 직후 치솟았던 韓 관련주동력 상실… 낙폭 키우며 하락세오세훈·김동연 종목도 고꾸라져 투자자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본격적인 베팅에 나섰다. 비상계엄 직후 일제히 치솟았던 여타 유력 정치인들의 테마주가 동력을 상실하고 급락한 반면 이 대표의 테마주로 분류된 종목들은 폭발적 상승세를 이어 가면서다. 금융당국은 탄핵 국면 속 급등락을 반복하는 정치 테마주 움직임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기로 했다.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 보고된 5일 이 대표의 수혜주로 분류된 종목들은 전날에 이어 급등세를 이어 갔다. 이 대표의 고향인 경북 안동에 본사가 있단 이유로 테마주로 엮인 동신건설은 전날에 이어 2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 대표의 성남시장 시절 인연으로 얽힌 에이텍과 에이텍의 계열사 오리엔트정공도 연속 상한가를 내달렸다. 반면 전날 함께 상승세를 기록했던 유력 정치인들의 테마주는 일제히 급락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테마주로 분류된 대상홀딩스우와 덕성우는 10% 이상 떨어졌다. 역시 잠룡으로 거론되는 오세훈 서울시장, 김동연 경기지사와 관련이 있는 종목들도 대부분 전날의 상승세를 이어 가지 못하고 고꾸라졌다. 증권가는 투자자들이 윤 대통령의 탄핵, 그리고 차기 대선 국면에서 이 대표가 주도권을 잡을 가능성에 투자한 것으로 분석한다. 이날 개장 이후 “반드시 탄핵을 해내야 한다”는 이 대표 발언과 함께 이 대표 테마주는 상승세를 한층 공고히 했다. 반면 “탄핵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한 대표의 발언이 전해지면서 개장 이후 낙폭을 조금이나마 만회하고 있던 한 대표 테마주는 다시 하락 전환했다. 증권가는 2004년과 2016년 두 차례의 탄핵 정국을 복기하고 있다. 특히 대통령 지지율이 급락한 상황에서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됐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의 상황을 주목한다. 박 전 대통령의 탄핵안이 가결된 2016년 12월 9일 문재인 전 대통령의 테마주로 분류됐던 대성파인텍은 상한가를 기록한 이후 이튿날에도 20%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일각에선 테마주 열기가 개인 투자자의 손해로 이어질 가능성은 물론 국내 증시의 건전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기업의 실질적인 내재 가치와 무관하게 지연, 학연 등으로 급등락을 반복하기 때문에 사실상 투기장이나 다름없다는 강도 높은 지적까지 나온다. 김용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당분간 정치 테마주가 기승을 부릴 공산이 크다”며 “관련주의 말로는 언제나 비참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상징후를 보이는 정책·정치테마주에 대해 정밀 분석을 실시하고 투자자 주의 환기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전 거래일 대비 0.9%와 0.92% 하락한 2441.85와 670.94로 거래를 마쳤다.
  • “윤씨란 이유만으로” ‘윤석열 관련주’ 상한가에 투자경고

    “윤씨란 이유만으로” ‘윤석열 관련주’ 상한가에 투자경고

    차기 대권주자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지지율 1위를 차지한 8일 ‘윤석열 관련주’로 분류되는 주식도 상한가를 기록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교통방송(TBS) 의뢰로 지난 5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23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권주자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 윤 전 총장이 32.4%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이재명 경기지사가 24.1%, 이낙연 대표가 14.9%로 뒤를 이었다. 이어 무소속 홍준표 의원(7.6%), 정세균 국무총리(2.6%),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2.5%) 순을 기록했다. 피혁 생산업체인 덕성은 윤 전 검찰총장 관련주로 엮이면서 장중 상한가를 기록했고,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됐다. 주가가 5일전 종가보다 60% 상승하는 등의 이유로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되면 신용융자로 주식을 살 수 없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40분 덕성은 전 거래일보다 29.95% 상승한 1만 2800원을 기록했다. 종가는 23.86% 상승한 1만 2200원으로 마무리됐다. 덕성우선주 지난 4일 상한가를 기록한 데 이어 이날에도 14.65%의 상승률을 보였다. 덕성은 이봉근 대표이사와 김원일 사외이사가 윤 총장과 서울대 법대 동문이다. 특히 교육서비스 기업 NE능률은 최대주주가 윤 전 총장과 같은 파평 윤씨 종친회 소속이란 주장에 지난 4일부터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역시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된 NE능률 측은 이날 “과거 및 현재 당사의 사업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공시했다. 웅진 역시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이 파평 윤씨란 이유로 이날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웅진씽크빅은 23.39% 주가가 상승했다. 웅진은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이 예고됐다. 역시 사외외사가 윤 전 총장과 서울대 법대 동문으로 알려진 자동차 내외장재 제작업체 서연탑메탈은 10.76%, 서연은 6.42% 주가가 올랐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 김대중 비자금 대응 3색/3후보의 전략

    ◎김종필­국민회의의 급격한 몰락은 불원/조순­도덕성우위 부각노려 양당 비난/이인제­사태추이 주시하며 실리 챙기기 국민회의 김대중 총재의 비자금파문을 놓고 ‘제3자’들의 속셈은 제각각이다.자민련은 대선후보 단일화협상 파트너의 ‘충격’으로 인해 ‘얻을 것’과 ‘잃을 것’을 걱정하고 있다.민주당과 이인제 전 경기지사 캠프는 신한국당과 국민회의를 싸잡아 공격할 빌미가 생겼다는 판단아래 강공에 나섰다. 자민련은 국민회의와의 협상에서 보다 유리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는 점에는 안도하고 있다.그러나 김대중 총재가 회복 불가능의 추락상태에 빠질 가능성을 걱정하고 있다. 심양섭 부대변인은 8일 논평을 내고 “문민정부아래 엄청난 규모의 비자금을 주물러온 집권 민주계 실세들의 비자금과 경선을 전후로 천문학적 규모의 비자금을 조성하고 사용해온 이회창 총재의 비자금부터 밝혀라”고 공격했다. 민주당은 신한국당과 국민회의에 대한 양면공세를 통해 조순 총재의 차별성 부각을 시도하고 나섰다. 이인제 전 경기지사측은 두 당의비자금은닉 공방이 전면전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고,결과적으로 이회창·김대중 두 총재 모두 상처를 입을 것으로 보고 ‘어부지리론’을 펴고 있다.따라서 대변인단의 논평 등을 통한 사실논쟁에 끼어들지 않고 사태추이를 당분간 관망키로 방침을 정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