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미 괌기지 위성사진 수신”…김정은 “‘눈’과 ‘주먹’ 수중에”
북한은 21일 밤 발사한 군사정찰위성 1호기 ‘만리경-1호’가 정상 작동한다고 22일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날 오전 10시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평양종합관제소를 방문해 궤도에 진입한 만리경-1호의 작동 상태 등을 파악했다고 보도했다.
이 자리에서 기술총국은 김 위원장에게 “‘만리경-1호’가 앞으로 7~10일간의 ‘세밀한 조종공정’을 마친 뒤, 12월 1일부터 정식 정찰 임무에 착수하게 된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이 자리에서 이날 오전 9시 21분 수신된 태평양 지역 괌 상공에서 앤더슨 미 공군기지와 아프라항 등 미군의 주요 군사기지 구역을 촬영한 항공우주 사진들을 봤다고 통신은 덧붙였다.결과를 보고 받은 김 위원장은 “공화국 무력이 이제는 만리를 굽어보는 ‘눈’과 만리를 때리는 강력한 ‘주먹’을 다 함께 수중에 틀어쥐였다”면서 “우리의 위력한 군사적 타격 수단들의 효용성을 높이는 측면에서나 자체 방위를 위해서도 더 많은 정찰위성들을 운용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강조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김 위원장이 언급한 ‘눈’은 군사정찰위성을, ‘주먹’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북한은 전날 밤 발사한 만리경-1호 발사가 성공적이었다고 발표했지만, 한미 당국은 성공 여부에 대해 밝히지 않고 있다.정찰위성 발사의 성공은 위성이 예정된 궤도에 진입하는 게 끝이 아니라 지상 기지국과 신호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지상을 촬영한 사진 및 영상도 발신돼야 한다. 한미 당국은 위성 신호 등을 분석 중이다. 북한은 2012년 12월 광명성 3호 2호기와 2016년 2월 광명성 4호 등 두 차례 위성을 궤도에 올린 적이 있지만, 정상 작동이 확인된 적은 없다.
일본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 관계자는 “궤도에 진입할 속도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정보 수집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우리 군 관계자는 “북한은 서둘러 성공했다고 발표했지만 그것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으며, 한미, 한미일이 긴밀히 공조해 여러 식별된 상황을 공유, 분석해 판단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는 새로운 물체가 우주에 진입하면 수 시간 안에 관련 정보를 발표하는데, 이날 오전 9시 30분 현재 북한 정찰위성에 대한 정보는 실리지 않았다.초기 운용 단계에 문제가 식별되지 않았더라도 거쳐야 할 관문은 더 남아있다. 만리경-1호가 정찰위성으로서 효용을 발휘하는지 검증해야 한다.
장영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연합뉴스에 이를 검증하는 데 탑재체에 따라 최소 1∼2개월 정도 소요된다며 “이 기간에 실제 영상 촬영을 시험적으로 수행하고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북한이 미국의 괌 기지를 촬영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기술 수준 노출을 우려해 이를 공개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발사체에 탑재하는 위성체 기술 수준도 아직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군이 올해 5월 북한의 1차 발사 때 인양된 낙하물을 분석한 결과, 당시 정찰위성에 장착된 카메라의 해상도도 3m급에 불과했다. 이는 가로·세로 3m 물체를 한 점으로 표시하는 수준이다.
다만 최근 포탄 등 무기 거래를 대가로 러시아의 지원을 받거나 밀수 등을 통해 국외에서 고품질 부품을 들여와 성능을 개선했을 가능성은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