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공공기관 직원들 ‘나 홀로 이주’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직원 대부분은 ‘나 홀로’ 이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새누리당 김희국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한 기관을 대상으로 전수조사한 결과 가족 동반 이주 비율은 25.3%에 불과했다.
현재 이전을 마친 40개 공공기관의 이주계획 인원은 8134명이며 이 중 7739명이 지방으로 내려갔다. 이주 형태는 나 홀로 이주가 5022명으로 가장 많았고(65%) 가족 동반 이주 1951명(25.3%), 통근자는 752명(9.7%)으로 나타났다. 특히 나 홀로 이주자 중 앞으로 동반 이주 의향을 가진 인원은 403명으로 전체의 6.97%에 불과했다.
가족 동반 이주율이 가장 낮은 기관은 경북 김천의 조달품질원으로, 이전 인원 64명 중 단 1명(1.6%)만이 가족 동반으로 이주했다. 충북 충주 혁신도시로 옮긴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이전 인원 397명 중 13명(3.3%)만 동반 이주했다. 울산 근로복지공단은 451명 중 39명만(8.6%)만 가족과 함께 갔다.
대한적십자사, 대한법률구조공단,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교통안전공단 등도 동반 이주 비율이 4~7%대로 낮았다.
동반 이주 비율은 충북 혁신도시가 7.5%로 가장 낮고 경북 13.2%, 강원 16.7%, 울산 17.3% 순이다. 경남(23.0%), 대구(24.4%), 전북(27.1%) 혁신도시는 동반 이주 비율이 20%대를 넘었다.
김 의원은 “가족 동반 이주 비율을 높이려면 기관 이전과 함께 교육, 문화, 거주환경도 동반 개선하는 종합적 도시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