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美, 유네스코 탈퇴 통보
    2025-05-16
    검색기록 지우기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
  • 유엔 ‘예루살렘 결의’ 채택 반발… 이스라엘 “유네스코 탈퇴” 발표

    유엔 ‘예루살렘 결의’ 채택 반발… 이스라엘 “유네스코 탈퇴” 발표

    이·팔 충돌… 시위대 11명 사망 이스라엘이 22일(현지시간) 미국의 뒤를 따라 유네스코(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를 탈퇴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유엔총회가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인정한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결정을 부정하는 결의를 채택한 지 하루 만에 내려진 조치로 국제사회에서 미국과 이스라엘의 고립이 심화하는 양상이다.에마누엘 나흐숀 이스라엘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유네스코가 조직적이고 반복적으로 이스라엘을 공격하는 것은 물론 이스라엘 땅을 유대인의 역사로부터 분리하려고 한다”고 말했다고 AP통신 등이 전했다. 그는 이어 “이스라엘 외교부는 탈퇴 의사를 알리는 서신을 연내에 공식 제출하고 내년 말까지 탈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스라엘은 유네스코 규약에 따라 미국과 같이 내년 12월 31일 유네스코 정회원 자격을 잃게 된다. 앞서 미국은 지난 10월 “유네스코의 반(反)이스라엘적 편견을 참을 수 없다”며 탈퇴 의사를 통보했다. 이스라엘은 지난해 이슬람과 유대교의 공동성지인 동예루살렘 구시가지 관리 문제를 놓고 유네스코와 갈등을 빚었다. 이곳은 솔로몬왕의 예루살렘 성전이 세워진 곳으로 유대인들이 신성시하는 곳이나 이슬람 3대 성지 중 하나인 알아크사 모스크도 있다. 유네스코는 동예루살렘 구시가지가 이슬람교와 유대교에 모두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팔레스타인인의 방문을 제한하는 이스라엘의 조치를 비판했다. 유네스코는 지난 7월에는 요르단강 서안 헤브론 구시가지를 이스라엘이 아닌 팔레스타인 유산으로 등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6일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한다고 발표한 뒤 팔레스타인 각지에서는 주말마다 규탄 시위가 열리고 있다. 22~23일 세 번째 주말 시위에서도 이스라엘군과 팔레스타인 시위대의 유혈충돌이 벌어져 지금까지 시위대 사망자는 11명으로 늘었다. 예루살렘과 맞닿아 있는 팔레스타인 자치령의 예수 탄생지 베들레헴도 후폭풍을 맞고 있다. 매년 크리스마스 때마다 수많은 관광객과 기독교도가 베들레헴을 방문해 아기 예수 탄생을 축하하지만 유혈 충돌이 격해지자 단체 관광객들이 잇따라 방문을 취소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은 이날 크리스마스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이 기독교 역사 2000년 만에 처음으로 신성한 도시 베들레헴과 예루살렘의 단절을 부추겼다”면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 프로세스와 관련해 미국의 중재를 더이상 따르지 않겠다”고 밝혔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 美, 유네스코 탈퇴 통보… “反이스라엘 편견 우려”

    레이건 행정부 때도 탈퇴 전력 미국이 유엔의 교육과학문화기구인 유네스코(UNESCO)측에 탈퇴 의사를 통보했다. 체납금과 유네스코의 ‘반(反) 이스라엘 편향’ 등을 이유로 들었다. 미국 국무부는 12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유네스코 탈퇴 결정을 발표하고, 이는 오는 12월 31일부터 효력을 발휘한다고 전했다.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은 이번 결정에 대해 “가볍게 취해진 것이 아니며, (미국의) 늘어가는 유네스코 체납금과 기구의 근본적 개혁 필요성, 유네스코에서 계속되는 반이스라엘 편향에 관한 미국의 우려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미국은 유네스코에 “계속해서 관여할 것”이며 이 활동은 “미국의 시각과 관점, 경험을 이바지하기 위해 비(非)회원 옵저버 국가(참관국)로서”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미국이 유네스코 회원국 지위를 포기하겠다는 공식적인 고지를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으로부터 받았다”면서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싶다”고 전했다. 보코바 총장은 이 결정이 국제사회의 다자주의와 유엔이라는 가족에 손실이라고 규정했다. 미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에 따르면 미국의 이 같은 결정은 재정적인 문제와 이스라엘이라는 두 가지 이유에서 나왔다. 미국이 유네스코에 체불한 분담금은 현재 5억 달러(약 5665억원)에 달한다. 2011년부터 미국이 의무적으로 내야 하는 분담금에 못 미치는 돈을 내왔기 때문에 분담금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이와 함께 유네스코의 반이스라엘 결정이 탈퇴에 영향을 줬다. 유네스코는 지난해 동예루살렘에 있는 이슬람·유대교 공동성지 관리문제에서 팔레스타인의 손을 들어줬고, 지난 7월에는 헤브론 구시가지를 이스라엘이 아닌 팔레스타인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했다. 한편 미국은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 때인 1984년에도 유네스코의 이념 성향과 부패를 이유로 유네스코를 탈퇴한 뒤 조지 W. 부시 행정부 때인 2002년 재가입했다. 유네스코는 교육·과학·문화의 보급 및 교류를 통하여 국가간의 협력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연합전문기구이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