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이 감기 때만? 얕보다 ‘큰코’
습관적으로 ‘흠흠’거리는 헛기침부터 ‘컥’ 하고 내뱉는 가래 섞인 기침까지, 기침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생리현상이다. 기침은 유해물질이 기도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 폐와 기관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중요한 신체 방어작용이다. 식사 때 음식이 기도로 들어가면 즉시 맹렬한 기침이 생겨 음식을 밀어내는 데서 보듯, 이물질이 호흡기로 들어오면 이를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기침을 하게 되는 것. 이런 기침이라면 몸의 기능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기침이 때로는 병의 신호일 수도 있다.■기침 너무 억제하면 합병증 생길 수도 보통은 감기보다 기관지염이나 폐렴에 걸렸을 때 기침이 훨씬 심하다. 병이 심할수록 호흡기 안에 이물질이 많아 기침을 더 심하게 하는 반응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전문의들은 “기침이 불편하다고 해서 지나치게 억제하면 몸 안의 이물질과 가래를 배출하지 못해 염증이 지속되고, 심하면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다”며 “특히 감기 기침의 경우 생활하기 불편할 만큼 기침이 심하지 않다면 일부러 약을 써서 기침을 억제할 필요는 없다”고 조언한다. 원인을 놔둔 채 기침만 억제하는 치료를 할 경우 감기 증상이 호전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감기 치료에는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침은 필요할 때만 제한적으로 억제하는 게 좋다.
■기침 많을 땐 휴식과 수분 섭취를 기침을 하면 입안의 침 등이 공기 속으로 퍼져나가는데, 이때 감기나 독감 바이러스도 함께 퍼져 다른 사람에게 옮는다. 따라서 기침을 할 때는 고개를 돌리고, 손 대신 팔로 입을 가린 채 하는 게 기침 예절이다. 감기에 걸린 사람은 마스크를 쓰면 이런 불편을 상당 부분 덜 수 있다. 물론 기침이 심할 때는 휴식이 제일이다. 또 쾌적한 환경을 유지해야 하며, 집 안팎의 온도차가 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전문의들은 “일상적으로 적당한 실내 습도를 유지해 기도 점막이 마르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기도 점막에 가래가 달라붙으면 기침을 하기가 힘들어지므로 수분을 많이 섭취해 가래를 묽게 해줘야 한다”고 조언한다.
■기침에 관한 흔한 오해
-기침은 저절로 사라진다? 보통 감기 기침은 길어도 3주 이내에는 사라진다. 따라서 기침이 3주 이상 계속된다면 정확한 원인을 찾아 치료를 해야 하는데, 특히 폐결핵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기침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며, 원인에 따라 기침의 소리와 양상이 다르다는 점도 알아둬야 한다.
-기침과 가래는 늘 함께한다? 기침은 ‘마른 기침’과 ‘가래 기침’으로 나눌 수 있다. 마른 기침은 가래가 없는 기침으로, ‘헛기침’이라고도 한다. 이에 비해 가래가 기도를 자극해 나오는 가래 기침은 오염된 환경에 노출됐을 때 생기는 기침으로, 주로 폐렴이나 결핵 등 원인질환이 있을 때 발생한다.
-기침을 많이 하면 폐가 상한다? 흔히 기침을 심하게 하면 폐가 나빠진다고 믿지만 이는 앞뒤가 바뀐 생각이다. 특정 질병에 걸릴 경우 몸속의 나쁜 물질을 내보내기 위해 심한 기침을 하는 것이지, 기침을 심하게 한다고 해서 폐가 나빠지지는 않는다.
-기침약은 다 비슷하다? 일반적인 기침약은 ‘진해제’나 ‘진해거담제’로 원인에 관계없이 기침만 진정시킨다. 여기에서 ‘거담제’란 가래를 묽게 하거나 기도 분비물의 양을 늘려 가래가 쉽게 배출되도록 돕는 약이다. 만약 가래를 가진 기침에 진해제를 지나치게 사용하면 필요한 기침까지 억제돼 배출되어야 할 가래가 기도나 기관지·폐 등에 남아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기침약은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복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도움말 을지대학병원 호흡기내과 한민수 교수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03-2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