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 2015년 1월 당시 앙겔라 메르켈(왼쪽) 독일 총리와 마테오 렌치 이탈리아 총리가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후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
2015년 1월 당시 앙겔라 메르켈(왼쪽) 독일 총리와 마테오 렌치 이탈리아 총리가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후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미국의 한 공립 초등학교 교장이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미켈란젤로의 조각상 ‘다비드상’을 가르쳤다가 학부모들로부터 ‘포르노’라는 비판을 받고 해고됐다는 소식에 이탈리아 현지에선 황당하다는 반응이 나왔다.

다비드상이 있는 이탈리아 피렌체시는 해고된 교장을 초청하며 “예술과 외설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라고 비판했고, 미술관 측은 “와서 보고 배우라”는 의미로 학생과 학부모를 초대했다.

나체 다비드상 가르치며 사전고지 안했다고 해고

26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플로리다주의 주도 탤러해시에 있는 자율형 공립초등학교 탤러해시 클래식 스쿨의 호프 카라스키야 교장은 지난 17일 6학년 대상의 ‘르네상스 미술’ 시간에 피렌체 아카데미아 미술관이 소장 중인 다비드상 사진을 보여주며 강의를 했다. 이 수업에서는 미켈란젤로의 ‘아담의 창조’,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 등도 다뤄졌다.
미켈란젤로의 ‘아담의 창조’.  위키피디아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미켈란젤로의 ‘아담의 창조’.
위키피디아

전신 나체의 다비드상이 강의 자료로 활용된 사실이 알려지자 몇몇 학부모들은 “우리 자녀가 이런 작품을 봐서는 안 된다”며 학교 측에 강하게 불만을 제기했다. 지역신문 탤러해시 데모크라트는 “일부 학부모들은 다비드상을 ‘포르노’라고 부르며 분노했다”고 전했다.

이 과정에서 학부모들에게 강의 내용에 대한 사전공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점도 지적됐다.

카라스키야 교장은 “다비드상과 같은 고전예술 작품을 보여줄 때에는 사전에 학부모에게 알려주도록 돼 있다”면서 “그러나 전달이 잘못돼 메일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았고, 이에 학부모들이 불만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교장은 10년간 고전예술을 가르쳤던 경험에 비춰볼 때 “르네상스 예술에 대해 (선정적이라며) 화를 내는 부모들이 있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  위키피디아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
위키피디아

학교 이사회는 지난 20일 카라스키야 교장에게 사임 또는 해고 중 하나를 택하라는 결의안을 채택했고, 결국 그는 해고됐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다윗 왕을 소재로 한 다비드상은 르네상스 시대의 거장 미켈란젤로가 1501년부터 1504년까지 제작한 조각상으로, 거인 골리앗을 돌팔매로 물리친 다윗을 통해 압제로부터 시민의 자유를 쟁취한 피렌체를 나타내려는 의도가 담긴 작품이다.

나체로 표현된 다비드의 단단한 근육 묘사와 물 흐르듯 균형 잡힌 자세, 결의에 찬 표정 등이 훌륭하게 표현돼 당대에도 큰 호평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학교 이사진은 다비드상 사진을 학생들에게 보여준 것이 카라스키야 교장의 해고에 영향을 미쳤지만 유일한 이유는 아니라고 해명했다.

“역사의 무지 보여주는 사례”

미켈란젤로의 ‘다비드’ 조각상. 위키피디아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미켈란젤로의 ‘다비드’ 조각상. 위키피디아

교장의 해고까지 부른 다비드상 논란은 실제 다비드상이 전시된 이탈리아에서 “말도 안 되는 일”이라며 황당하다는 반응을 낳았다.

로마의 아메리칸 아카데미의 인문학 연구 책임자 마를라 스토네는 다비드상이 학부모들에게 사전에 경고해야 할 만큼 논쟁적인 작품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번 사건이 미국 내 ‘문화 전쟁’의 또 다른 사례로서 “역사에 대한 무지를 보여준다”고 꼬집었다.

이탈리아 일간지 코리에레 델라 세라는 다비드상의 성기 부분을 미국을 상징하는 ‘엉클 샘’ 캐릭터로 가린 뒤 ‘망신(vergogna)’이라고 적은 만평을 26일자 신문 1면에 싣기도 했다.

AP통신은 르네상스 시기의 걸작이 나체로 표현됐어도 유럽에서는 일반적으로 논란의 대상이 아니며, 이 때문에 이러한 미국의 문화 전쟁을 두고 이탈리아인들이 황당해한다고 전했다.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이 전시된 이탈리아 피렌체의 아카데미아 미술관.  위키피디아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이 전시된 이탈리아 피렌체의 아카데미아 미술관.
위키피디아

다비드상을 소장한 미술관과 미술관이 있는 피렌체시까지 나섰다.

다리오 나르델라 피렌체 시장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카라스키야 교장에게 도시를 방문해 달라는 초대장을 보냈다면서 예술과 포르노를 혼동하는 것은 ‘우스꽝스러운 일’이라고 꼬집었다.

다비드상이 전시된 아카데미아 미술관의 세실리 홀베르그 관장도 이번 논란에 놀라움을 표시하며 문제의 학교 이사회와 학부모, 학생회를 초대해 작품의 ‘순수함’을 보여주겠다고 밝혔다.

홀베그르 관장은 “다비드상이 포르노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성경의 내용과 서양 문화는 물론 르네상스 예술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