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북극성 2형 아닌 스커드ER, 발사 후 통제 불능”… 실패 주장설
軍 “한·미 여전히 북극성 2형 판단, 비행 뒤 동해 낙하”… 성공에 무게
지난 5일 오전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한 발을 발사한 북한은 하루 뒤인 6일 침묵했다. 관영매체 어디서도 관련 소식을 내보내지 않았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참관하지 않았거나, 참관했어도 실패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신형 미사일 개발 과정 가능성” 주장도
이날 AFP 등 일부 외신들은 익명의 미 국방부 관리를 인용,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북극성 2형’(미국명 KN15)이 아니라 스커드 개량형인 스커드ER로, 미국 측은 초기 분석을 수정했다”고 보도했다. 당초 판단했던 고체연료가 아닌 액체연료를 사용했다고도 했다. 또 미사일이 발사 직후 통제 불능에 빠져 1분 정도 비행하거나 의도한 대로 날아가지 못했다고 전했다. 종합해 보면 전날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사정거리 1300㎞의 스커드ER로, 실패했다는 것이다.
우리 군은 신중한 반응을 내놓았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한·미 공동으로 초기 분석한 결과를 어제 설명한 바 있고, 아직까지 바뀌지 않았다”며 북극성 2형 판단이 바뀌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실패 여부에 대해서도 “정확한 것은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면서도 “미사일은 발사돼서 궤적을 비행한 뒤 동해상에 낙하했다”며 여전히 성공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전날부터 제기된 의문이지만 비행거리가 왜 60㎞에 불과했는지는 실패하지 않았다면 풀리지 않는다. ‘실패한 스커드ER 발사’가 설득력 있게 들리는 이유다. 그래도 의문은 남는다.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스커드ER은 이미 여러 차례 성공한 미사일이다.
지난달 6일 평북 동창리 일대에서 주일미군을 겨냥한다며 4발을 이동식발사대(TEL)를 이용해 동해 쪽으로 1000여㎞나 날려보내기도 했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과 고체연료 엔진 개발을 위해 설치한 함경남도 신포시 육대1동의 지상발사시설에서 쏠 까닭도 없다. 물론 새로운 고체연료 엔진을 장착한 스커드ER이라면 또 얘기는 달라진다. 군의 한 전문가는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을 최종 목표로 삼고 있다”면서 “신형 미사일 개발 과정일 가능성을 배제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CSIS “한달 내 北 추가 도발 가능성 78%”
한편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5일(현지시간) 빅데이터 분석 결과 북한이 한 달 안에 추가로 미사일 도발을 할 가능성이 78%에 달한다고 전망했다. CSIS는 6~7일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북한 문제가 중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고, 한·미 합동 군사훈련이 이달 말 끝난다는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
서울 박홍환 전문기자 stinger@seoul.co.kr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軍 “한·미 여전히 북극성 2형 판단, 비행 뒤 동해 낙하”… 성공에 무게
지난 5일 오전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한 발을 발사한 북한은 하루 뒤인 6일 침묵했다. 관영매체 어디서도 관련 소식을 내보내지 않았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참관하지 않았거나, 참관했어도 실패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신형 미사일 개발 과정 가능성” 주장도
이날 AFP 등 일부 외신들은 익명의 미 국방부 관리를 인용,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북극성 2형’(미국명 KN15)이 아니라 스커드 개량형인 스커드ER로, 미국 측은 초기 분석을 수정했다”고 보도했다. 당초 판단했던 고체연료가 아닌 액체연료를 사용했다고도 했다. 또 미사일이 발사 직후 통제 불능에 빠져 1분 정도 비행하거나 의도한 대로 날아가지 못했다고 전했다. 종합해 보면 전날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사정거리 1300㎞의 스커드ER로, 실패했다는 것이다.
우리 군은 신중한 반응을 내놓았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한·미 공동으로 초기 분석한 결과를 어제 설명한 바 있고, 아직까지 바뀌지 않았다”며 북극성 2형 판단이 바뀌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실패 여부에 대해서도 “정확한 것은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면서도 “미사일은 발사돼서 궤적을 비행한 뒤 동해상에 낙하했다”며 여전히 성공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전날부터 제기된 의문이지만 비행거리가 왜 60㎞에 불과했는지는 실패하지 않았다면 풀리지 않는다. ‘실패한 스커드ER 발사’가 설득력 있게 들리는 이유다. 그래도 의문은 남는다.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스커드ER은 이미 여러 차례 성공한 미사일이다.
지난달 6일 평북 동창리 일대에서 주일미군을 겨냥한다며 4발을 이동식발사대(TEL)를 이용해 동해 쪽으로 1000여㎞나 날려보내기도 했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과 고체연료 엔진 개발을 위해 설치한 함경남도 신포시 육대1동의 지상발사시설에서 쏠 까닭도 없다. 물론 새로운 고체연료 엔진을 장착한 스커드ER이라면 또 얘기는 달라진다. 군의 한 전문가는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을 최종 목표로 삼고 있다”면서 “신형 미사일 개발 과정일 가능성을 배제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CSIS “한달 내 北 추가 도발 가능성 78%”
한편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5일(현지시간) 빅데이터 분석 결과 북한이 한 달 안에 추가로 미사일 도발을 할 가능성이 78%에 달한다고 전망했다. CSIS는 6~7일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북한 문제가 중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고, 한·미 합동 군사훈련이 이달 말 끝난다는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
서울 박홍환 전문기자 stinger@seoul.co.kr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7-04-0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