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후계자인 셋째 아들 김정은이 군과 당의 직책을 받은 뒤 모습을 공개함으로써 본격 후계 구축의 막이 올랐다.
김정은의 후계 공식화 과정은 지난달 27일 인민군 대장 칭호에서 30일 노동당 대표자회 참석 사진 공개까지 나흘 만에 속전속결로 이뤄졌다. 김 위원장이 지난 1964년 노동당 지도원으로 시작한 뒤 1974년 당 중앙위 정치위원이 되면서 후계자로 내정됐고, 1980년 정치국 상무위원과 비서국 비서, 군사위원이 되면서 후계자로 공식화됐던 것과 비교하면 김정은의 후계 옹립 과정은 이례적이다. 북한이 김정은을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과 비슷하게 보이게 만들고 매체를 통한 모습 공개에 이어 초상화를 배포하는 등 홍보전을 강화하는 것도 그만큼 김정은 후계구도가 쉽지 않음을 방증한다. ‘불안한 황태자’ 김정은 앞을 가로막고 있는 산은 크게 4가지 정도다.
●김정일 총비서 재선 건재 과시
첫째, 건강이 좋지 않은 김 위원장과의 관계 설정이다. 김 위원장은 당 대표자회에서 총비서로 재추대되는 등 건재함을 과시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아버지 김 주석으로부터 권력을 받을 때 치열한 신경전을 벌였다. 김 주석이 소외감을 느낄 만큼 권력을 잡기 위해 공작을 벌였다는 설도 있다. 따라서 김 위원장도 급하게 후계자를 세웠지만 그에게 서둘러 권력을 넘기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대북 소식통은 “김 위원장이 권력을 쉽게 놓지 않기 위해서라도 아들보다는 장성택·리영호 등 측근에게 더 기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둘째, 대표자회를 통해 명실상부한 친족 호위세력으로 떠오른 김경희·장성택은 물론 형 김정남·김정철 등이 얼마나 영향력을 미치느냐이다. 권력욕이 많은 김경희는 남편 장성택과 사이가 좋지 않고, 이번 대표자회를 통해 장성택보다 높은 지위(정치국 위원)에 오른 만큼 장성택을 견제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김 위원장의 눈 밖에 난 김정남은 여전히 김경희·장성택 부부의 물질적인 후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김정남이 중국을 등에 업고 측근 세력을 끌어들이면 김정은 후계 구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정철·김경희 등 영향력 무시못해
셋째, 그동안 쌓은 경력이 일천한 김정은이 부랴부랴 군과 당의 직책을 얻었지만 군부와 당의 기존 세력을 어떻게 장악하느냐다. 당 대표자회를 통해 급부상한 리영호 총참모장과 최룡해 정치국 후보위원 등은 후계 구축을 위한 신진 호위세력이다. 이들이 전진배치되면서 조명록·오극렬 등 기존 군부세력은 물론 김영남·전병호·최태복·김기남 등 당내 구세력과 갈등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일각에서 숙청설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 소식통은 “국방위 인사들의 상당수가 당 직책을 함께 갖게 됐기 때문에 군과 당의 갈등은 없을 수 있지만 신구 세력 간 갈등 여부는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대표자회를 통해 지도부가 새로 구성되면서 김정은 옹립 분위기를 만들었지만 북한 내 민심은 여전히 흉흉하다. 국내외 대북 매체들은 북 주민들과 군인들이 김정은의 후계 공식화에 “어이없고 실망스럽다.”는 반응이라고 전했다. 특히 북 주민들 사이에서 “김정은은 표독스럽고 후처 자식”이라는 소문이 도는 등 비난 여론이 높아지자 당 조직과 보위부가 총동원돼 체제 단속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김정은의 후계 공식화 과정은 지난달 27일 인민군 대장 칭호에서 30일 노동당 대표자회 참석 사진 공개까지 나흘 만에 속전속결로 이뤄졌다. 김 위원장이 지난 1964년 노동당 지도원으로 시작한 뒤 1974년 당 중앙위 정치위원이 되면서 후계자로 내정됐고, 1980년 정치국 상무위원과 비서국 비서, 군사위원이 되면서 후계자로 공식화됐던 것과 비교하면 김정은의 후계 옹립 과정은 이례적이다. 북한이 김정은을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과 비슷하게 보이게 만들고 매체를 통한 모습 공개에 이어 초상화를 배포하는 등 홍보전을 강화하는 것도 그만큼 김정은 후계구도가 쉽지 않음을 방증한다. ‘불안한 황태자’ 김정은 앞을 가로막고 있는 산은 크게 4가지 정도다.
●김정일 총비서 재선 건재 과시
첫째, 건강이 좋지 않은 김 위원장과의 관계 설정이다. 김 위원장은 당 대표자회에서 총비서로 재추대되는 등 건재함을 과시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아버지 김 주석으로부터 권력을 받을 때 치열한 신경전을 벌였다. 김 주석이 소외감을 느낄 만큼 권력을 잡기 위해 공작을 벌였다는 설도 있다. 따라서 김 위원장도 급하게 후계자를 세웠지만 그에게 서둘러 권력을 넘기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대북 소식통은 “김 위원장이 권력을 쉽게 놓지 않기 위해서라도 아들보다는 장성택·리영호 등 측근에게 더 기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둘째, 대표자회를 통해 명실상부한 친족 호위세력으로 떠오른 김경희·장성택은 물론 형 김정남·김정철 등이 얼마나 영향력을 미치느냐이다. 권력욕이 많은 김경희는 남편 장성택과 사이가 좋지 않고, 이번 대표자회를 통해 장성택보다 높은 지위(정치국 위원)에 오른 만큼 장성택을 견제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김 위원장의 눈 밖에 난 김정남은 여전히 김경희·장성택 부부의 물질적인 후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김정남이 중국을 등에 업고 측근 세력을 끌어들이면 김정은 후계 구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정철·김경희 등 영향력 무시못해
셋째, 그동안 쌓은 경력이 일천한 김정은이 부랴부랴 군과 당의 직책을 얻었지만 군부와 당의 기존 세력을 어떻게 장악하느냐다. 당 대표자회를 통해 급부상한 리영호 총참모장과 최룡해 정치국 후보위원 등은 후계 구축을 위한 신진 호위세력이다. 이들이 전진배치되면서 조명록·오극렬 등 기존 군부세력은 물론 김영남·전병호·최태복·김기남 등 당내 구세력과 갈등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일각에서 숙청설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 소식통은 “국방위 인사들의 상당수가 당 직책을 함께 갖게 됐기 때문에 군과 당의 갈등은 없을 수 있지만 신구 세력 간 갈등 여부는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대표자회를 통해 지도부가 새로 구성되면서 김정은 옹립 분위기를 만들었지만 북한 내 민심은 여전히 흉흉하다. 국내외 대북 매체들은 북 주민들과 군인들이 김정은의 후계 공식화에 “어이없고 실망스럽다.”는 반응이라고 전했다. 특히 북 주민들 사이에서 “김정은은 표독스럽고 후처 자식”이라는 소문이 도는 등 비난 여론이 높아지자 당 조직과 보위부가 총동원돼 체제 단속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0-10-0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