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순병사 직접 구조한 JSA 대대장 “차마 아이들을 보낼 수 없었다”

귀순병사 직접 구조한 JSA 대대장 “차마 아이들을 보낼 수 없었다”

오세진 기자
입력 2017-11-16 15:29
수정 2017-11-16 15: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대장이 포복해서 북한군 병사를 데리고 왔다고 하는데, 여기는 대대장 무용담을 늘어놓는 자리가 아니다.” 지난 14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자유한국당의 정진석 의원은 지난 13일 오후 북한 군인 1명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귀순하는 과정에서 우리 군의 대응이 잘못됐다며 질타만 했다.
판문점  사진공동취재단
판문점
사진공동취재단
하지만 북한 군인 귀순 당시 JSA 한국군 경비대대의 대대장은 북한군의 총을 맞고 즉사할 수도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살신성인의 정신을 발휘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경제는 귀순하려다 총격을 받고 쓰러진 북한 군인을 JSA 한국군 경비대대장 권영환(육사 54기) 중령이 어떻게 구조했는지를 관련 제보를 종합·재구성해 16일 보도했다.

보도 내용에 따르면 지난 13일 오후 3시 15분쯤 총탄 발사음이 들리자마자 권 중령은 전방의 적황부터 살폈다. 권 중령은 순간 ‘전쟁으로 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북한 군인의 귀순을 막기 위해 북한군 증원병력이 몰려오는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초소의 북한군 병력과 합치면 적군의 수가 아군보다 많아지는 상황이었다.

권 중령은 무장부터 시켰다. 평소 무장인 권총 대신 K-2소총과 방탄복·방탄헬멧을 갖추고 병력을 길목에 배치하는 한편 대대 병력의 증원을 명령했다. 전투 준비와 배치가 끝난 후 권 중령은 감시 장비를 다시 돌렸다. 이때서야 북한군 병사가 부상을 입은 채 쓰러져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낙엽을 모아둔 곳에 쓰러져 외부 식별이 쉽지 않은 상태였으나 감시 장비가 찾아냈다.

권 중령은 즉각 부사관 중에서 행동이 민첩한 중사 2명을 대동해 낮은 포폭으로 북한군 병사에게 접근해 구조해냈다. 북한군의 최초 발포와 전투 준비를 거쳐 구조까지 걸린 시간이 바로 16분이라고 서울경제는 전했다.

쓰러진 귀순병사와 북한군 초소의 거리는 수십미터에 불과했다고 한다. 권총 사격으로도 맞힐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한 북한군 초소에는 소총뿐 아니라 중화기까지 배치돼 있었다. 북한군이 발포한다면 그야말로 즉사할 수밖에 없는 상황.

권 중령은 ‘왜 부하들을 보내지 않았느냐’는 군 장성들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차마 아이들을 보낼 수는 없었습니다.”

권 중령은 자신의 무용담이 알려지는 데 부담을 느끼며 한사코 마다했다고 한다. 하지만 부하들을 죽일 수 없다며 자신이 나선 권 중령의 솔선수범 리더십이 여러 관계자를 통해 전해지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권 중령은 대대원 모두를 무사하게 지켜냈다는 점을 감사하게 여기고 있다고 한다.
2017년 7월 판문점 모습.  연합뉴스
2017년 7월 판문점 모습.
연합뉴스
하지만 ‘안보 정당’을 자처하는 자유한국당은 귀순한 북한 군인에 대한 북한군의 사격이 남쪽 구역까지 이어졌는데 ‘왜 우리 군은 대응사격을 하지 않았느냐’고 질타했다. 이에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한국일보에 기고한 칼럼 ‘이승기, JSA 대대장의 노블레스 오블리쥬’를 통해 아래와 같이 지적했다.

“이런 대대장에게 판문점 현장에도 안 가본 사람들이 즉시 대응 사격하지 않았다는 질책을 한다. 만약 덮어놓고 대응사격을 했다면 우리 측의 피해는 차치하고 현재 생사의 기로에 있는 그 귀순병사가 더욱 집중사격을 받아 이미 사망했을 가능성이 크다. MDL 북측에서 차량사고가 나고 총성이 울리면 우리 측 피해를 확인하기 전까지는 어디까지나 북측의 내부 일이다. 또 도로가 아닌 숲으로 숨어들어간 북한 병사를 재빨리 찾지 못했다고 질책하는 것은 현장 지형을 너무나 모르고 하는 주장이다. 일반인이 TV 속에서 보는 판문점은 아스팔트 위에서 우리 병사들이 권총을 찬 채 선글라스를 끼고 서 있는 모습뿐이다. 그 옆으로 북한 귀순병사가 왔는데 왜 대응사격 하지 않느냐는 질문을 할 만하다. 그런데 그 경비병들은 관광객이 있을 때 보호를 위해 나오는 것이라, 평소에는 아무도 없고 화면 바로 옆은 숲이다. 따라서 여론주도층쯤 되면 현지 상황을 모른 채 함부로 예단해서 소리치지 말아야 한다. 그것이 사회지도층으로서 적을 이롭게 하지 않는 최소한의 도덕적 책무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