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준비청년에게 필요한 것은
위기 상황 속 손 내밀 사람
자립준비청년이 당당하게 사회에 첫 발을 내딛을 수 있도록 세밀한 심리·정서적 지원책이 필요하다. 사진은 경남의 한 아동양육시설에 지내는 고등학생이 보육사와 손을 잡고 있는 모습.
● 자립준비청년의 ‘일촌’은 퇴소 전 만난 친구자립준비청년들이 평소 주변 인물로부터 겪은 긍정·부정적인 경험은 자립 의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아름다운재단이 자립준비청년 121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 20~30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들이 정기적으로 만나거나 연락을 주고받는 사람은 퇴소 전 만난 학교·학원 친구(22%), 함께 생활했던 친구(20%) 등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재단의 ‘열여덟 어른’ 캠페인인 ‘강영아 프로젝트’의 하나로 진행됐다. 캠페이너로 활동하는 강영아씨는 자립준비청년들의 관계망 형성을 지원하고 있다.
조사에서 퇴소 전 학교·학원에서 만난 친구가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는 답변은 30%로 나타났다. 시설 원장님·선생님 등 시설 내 어른은 22%로 뒤를 이었다. 조사에 참여한 한 자립준비청년 A씨는 “제 꿈을 위해 피아노 학원을 다니고 싶었는데 결연비가 부족해 못 다님에도 불구하고 시설 선생님이 적극적으로 원장님을 설득하고 의지를 북돋아 줬다”며 “나를 지지하는 어른이 있다는 것 자체로 희망이 됐다”고 말했다.
반면 주변인으로부터 들은 부정적인 말이나 경험은 상처가 된다. B씨는 “전교회장에 나가고 싶었는데 부모님이 없어서 조금 어려울 것 같다는 말이 아직 상처로 남아있다”고 했다. C씨는 “보호종료아동이 아닌 다른 사람들과 지내다보면 현재 내 생황을 알게 된다”며 “가족도 없고 확실하게 내 편도 없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이에 재단은 “시설 관계자, 선후배 등과 보다 긍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며 “건강한 자립을 준비할 수 있도록 주변 관계자들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호대상아동은 만 18세(보호 연장 선택 시 만 24세)가 되면 보육원을 퇴소해야 한다. 사진은 한 자립준비청년이 자립 후 마련한 집에 물건들이 어지럽게 쌓여 있는 모습.
아름다운재단 제공
아름다운재단 제공
실제로 자립준비청년 4명 중 1명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것으로 조사댔다. 응답자의 26%는 경제 문제에 대해, 17%는 보호자가 필요한 수술 등 건강문제에 직면했을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고 했다. 취업, 진로 고민을 나눌 사람이 없다는 응답은 10%로 조사됐다. ‘도움을 받거나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인가’라는 질문에는 ‘1~2명’(43%)이 가장 많았다.
휴대전화 연락처에는 퇴소 후 만난 비자립준비청년(76%)이 더 많지만, 집을 구해야 하는 등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는 보호받던 시설의 어른(22%)이나 함께 생활하던 친구(14%) 등을 찾는 양상을 보였다.
재단은 “공공, 민간 지원 뿐 아니라 당사자 커뮤니티 등 사회적 도움도 마련돼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자립준비청년들을 보통의 청춘으로 바라보며 건강하게 잘비해 갈 수 있도록 사회적 안전망이 갖춰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