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박이’와 ‘배기’/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박이’와 ‘배기’/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06-23 20:20
수정 2021-06-24 0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요즘에야 한겨울에도 오이가 나오지만 맛으론 여름 오이를 따라올 수 없다. 입맛 없는 여름철 시원한 오이 하나만 있으면 다른 반찬이 필요 없다. 새콤한 냉국도 좋고 쌈장에 그냥 찍어 먹어도 괜찮다. 살짝 맛이 든 오이소박이까지 있으면 더할 나위 없는 한 끼 밥상이 된다.

오이소박이는 4등분해 십자로 칼집을 낸 오이에 부추와 마늘, 고춧가루 등을 섞은 소를 넣어 담근 김치다. 한데 이를 ‘오이소배기’라고 표현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발음이 비슷해서인지 ‘박이’와 ‘배기’의 표기를 두고 헷갈릴 때가 많은데 의미가 다른 만큼 반드시 구분해 써야 한다.

‘박이’는 무엇이 박혀 있는 사람이나 짐승 또는 물건이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소의 양지머리뼈 한복판에 붙어 있는 기름진 고기는 ‘차돌박이’다, 얼굴이나 몸에 큰 점이 있는 사람이나 짐승은 ‘점박이’, 양쪽 눈 위에 흰 점이 있어 언뜻 보기에 눈이 넷으로 보이는 개는 ‘네눈박이’, 장승감으로 박아서 세워 두는 물건은 ‘장승박이’라 한다. 이처럼 ‘박다’의 의미가 살아 있는 경우에 ‘박이’를 붙인다.

‘배기’는 ‘그 나이를 먹은 아이’(한 살배기, 두 살배기)나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런 물건’(공짜배기, 대짜배기, 진짜배기)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또 그것이 들어 있거나 차 있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도 사용된다. ‘나이배기’(겉보기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 ‘알배기’(알이 들어 배가 부른 생선) 등의 예에서 볼 수 있다.

oms30@seoul.co.kr
2021-06-24 2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