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앞 못 본다고 음악교육서 외면… ‘천재 작곡가’ 꿈 끝내 스러졌다 [강주리 기자의 K파일]

[단독] 앞 못 본다고 음악교육서 외면… ‘천재 작곡가’ 꿈 끝내 스러졌다 [강주리 기자의 K파일]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0-12-03 17:20
업데이트 2020-12-04 1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존 케이지 극찬받았던 송율궁씨…빈곤의 늪 못 이기고 집에서 투병

장애예술인 실태 파악조차 안 돼
국가 차원 체계적 양성·지원 절실
이미지 확대
1995년 서울 호암아트홀에서 프랑스 파리현대음악제 입상곡인 8분짜리 피아노곡 ‘지구의 소리’를 치는 송율궁씨 모습. 송율궁씨의 어머니 송혜미자씨 제공
1995년 서울 호암아트홀에서 프랑스 파리현대음악제 입상곡인 8분짜리 피아노곡 ‘지구의 소리’를 치는 송율궁씨 모습.
송율궁씨의 어머니 송혜미자씨 제공
1983년 맹학교 교실에서 반주 중인 11살 송율궁씨 모습. 송혜미자씨 제공  
1983년 맹학교 교실에서 반주 중인 11살 송율궁씨 모습. 송혜미자씨 제공
 
누군가는 기억할 것이다. 1980년대 언론이 대서특필했던 ‘천재 맹인소년 작곡가’ 송율궁(48)씨. 생후 3개월에 실명(1급 장애)했다. 맹인과 가난의 굴레 속에 독학으로 피아노와 작곡법을 터득해 9세에 처음 작곡을 했다.

맹인을 위한 수학 학습도구인 고무화판에 셀로판지를 대고 점자처럼 오선지를 그려 나갔다. 그는 모든 일상의 소리를 음악화하는 ‘전위음악’을 선보였다. 11세 때인 1983년 일본 도쿄국제작곡경연대회를 시작으로 프랑스 파리현대음악제 등 각종 음악대회를 휩쓸며 천재성을 입증했다. 미국의 유명 전위음악가 존 케이지는 “이 소년의 음악이 나보다 훨씬 우수하다”고 극찬했다.

그러나 ‘한국의 베토벤’을 꿈꿨던 송씨는 맹학교 재학시절 안마 수업을 거부하고 뛰쳐 나오면서 된서리를 맞았다. 지도자를 제대로 만나지 못해 지하철에서 구걸하며 공연과 현대음악당 건립 비용 마련에 나섰다. 세종문화회관 등에서 몇 차례 작곡발표회도 가졌지만 대중의 관심은 곧 멀어졌다.

이후 10년간 보이지 않던 그의 충격적 소식이 전해졌다. 평생 그를 뒷바라지한 어머니 송혜미자(76)씨는 최근 기자와 만나 아들이 많이 아프다며 “혼자서는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고 누워만 있다”고 울먹였다. 천재라 불렸던 송씨는 여전한 빈곤 속에 현대음악 작곡가로서의 꿈을 접어야 할 위기에 놓였다.
1983년 ‘천재 맹인소년 작곡가’로 불렸던 송율궁씨 11살 때 모습. 송혜미자씨 제공
1983년 ‘천재 맹인소년 작곡가’로 불렸던 송율궁씨 11살 때 모습. 송혜미자씨 제공
송율궁씨가 12살 때 작곡해 1984년 도쿄 국제작곡경연대회에서 문라이트상을 받은 ‘민선의 소리’ 악보. 송혜미자씨 제공
송율궁씨가 12살 때 작곡해 1984년 도쿄 국제작곡경연대회에서 문라이트상을 받은 ‘민선의 소리’ 악보. 송혜미자씨 제공
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송씨와 같은 시각장애인은 지난해 말 기준 25만 3055명이다. 이 가운데 시각장애 예술인이 얼마나 되는지는 현황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유경민 한국장애인개발원 연구기획팀장은 “장애예술인에 대한 실태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시각장애 예술인이 얼마나 되는지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태”라면서 “장애인예술단체에 대한 정부 지원이 일부 이뤄지고 있지만 개인 집안 재력이 아닌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장애예술인 양성 관리나 지원은 여전히 미흡하다”고 진단했다.

시각장애 피아니스트인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의 한국예술인복지재단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창작준비금 지원사업에서 장애예술인이 지원받은 비율은 올해 3.5%에 그쳤다. 예술인 생활안정자금은 올해 1.6%, 예술인 파견지원사업은 1%도 못 미쳐 더 열악했다.

김 의원은 “예술활동 증명을 받기 위한 기준 중 하나가 공개발표 실적인데, 장애예술인은 비장애예술인에 비해 작품 발표 기회도 부족하고, 정보를 얻어 신청하려 해도 그 과정이 어려워 포기해버린다”고 지적했다.
고무화판에 셀로판지로 점자처럼 오선지를 그려가고 있는 송율궁씨의 손. 송혜미자씨 제공
고무화판에 셀로판지로 점자처럼 오선지를 그려가고 있는 송율궁씨의 손. 송혜미자씨 제공
1987년 9월 6일자 서울신문에 실린 당시 15살 송율궁씨의 일본 국제작곡경연대회 우수상 수상 기사.
1987년 9월 6일자 서울신문에 실린 당시 15살 송율궁씨의 일본 국제작곡경연대회 우수상 수상 기사.
1987년 11월 경향신문에 실린 당시 15살 송율궁씨 기사. 송혜미자씨 제공
1987년 11월 경향신문에 실린 당시 15살 송율궁씨 기사. 송혜미자씨 제공
시각장애인은 한빛맹학교나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등에서 음악 교육을 부분적으로 받을 수 있지만 직업적 예술인으로서 성장하고 생계를 유지하는 건 쉽지 않다.

올해 6월 제정된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법이 오는 10일 시행된다. 제2조는 ‘장애예술인은 문화국가 실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공헌하는 존재로서 정당한 존중을 받아야 하고, 그 능력과 의사에 따라 예술 활동에 종사하고 참여할 기회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명시했다.

하지만 그 바탕이 될 ‘장애예술인 실태조사’는 예산 확보가 안 돼 2년 뒤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지난달 3일 문재인 대통령의 김정숙 여사는 서울맹학교를 찾아 “시각장애인들의 꿈이 장애물에 가로막히지 않게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장애인 단체들은 보다 실질적인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한다.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관계자는 “장애예술인에 대한 정부의 ‘보여주기식’ 일회성 행사는 전혀 도움이 안 된다. 공감 능력도 부족하다”면서 “‘5년 내 예술인 100명 키우기’처럼 체계적인 양성 계획과 활동의 장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장애예술인 공연장·연습장 건립을 위해 내년 예산을 250억원으로 100억원가량 늘렸다”고 설명했다.
송율궁씨가 18살에 작곡한 ‘명랑한’ 악보. 송혜미자씨 제공
송율궁씨가 18살에 작곡한 ‘명랑한’ 악보. 송혜미자씨 제공


jurik@seoul.co.kr

강주리 기자의 K파일은 강주리 기자의 이니셜 ‘K’와 대한민국의 ‘K’에서 따온 것으로 국내에서 벌어진 크고 작은 이슈들을 집중적으로 다룬 취재파일입니다. 주변의 소소한 일상에서부터 시사까지 독자들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 서울신문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2020-12-04 2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