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온도를 나타내는 형용사/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온도를 나타내는 형용사/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09-09 20:52
수정 2020-09-10 0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우리말엔 수많은 형용사가 있다. ‘덥다’와 ‘춥다’, ‘뜨겁다’와 ‘차갑다’는 대기의 온도를 나타내거나 물체와 접촉했을 때의 느낌을 표현하는 말이다.

‘따뜻함’을 표현한 말 중 다사롭다, 따사롭다, 다사하다, 따사하다, 다스하다, 따스하다, 다습다, 따습다, 드습다, 뜨습다, 드스하다, 뜨스하다, 따듯하다, 따뜻하다, 따갑다, 웅신하다, 무덥다, 후덥지근하다, 화끈하다, 후끈하다, 훗훗하다, 포근하다, 푸근하다, 푹하다 등은 기온과 관련 있다. 따끈하다, 뜨끈하다, 따끈따끈하다, 뜨끈뜨끈하다, 매지근하다, 맹근하다, 미지근하다, 밍근하다, 매작지근하다, 미적지근하다, 뜨뜻미지근하다, 설미지근하다, 실미적지근하다 등은 물체를 만졌을 때의 느낌과 관련 있다.

‘차가움’과 관련 있는 말로는 사느랗다, 서느렇다, 싸느랗다, 써느렇다, 사늘하다, 서늘하다, 싸늘하다, 써늘하다, 선선하다, 살랑하다, 설렁하다, 쌀랑하다, 썰렁하다, 시원하다, 싱겅싱겅하다, 쌀쌀하다, 차다, 차끈하다, 차디차다 등이 있다.

온도와 관련된 형용사가 이토록 많은 것은 사람들이 느끼는 따듯함과 차가움의 정도가 달라서인지도 모르겠다.

코로나19에 연이은 태풍까지, 올여름은 우리에게 너무도 힘든 시간이었다. 방역복을 입은 의료진이 느꼈을 무더위는 가늠조차 되지 않는다. 이제 아침저녁으로 쌀랑함이 느껴진다. 한낮의 햇빛은 더이상 따갑지 않다. 가을이 왔다.

2020-09-10 2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