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영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임상시험이라고 하면 일제강점기 생체실험에서의 ‘마루타’를 먼저 떠올리는 이들이 많다. ‘실험’이라고 혼동하는 것 역시 그런 인식에서 비롯되지 않았을까 한다. 그러나 ‘시험’(trial)의 전제는 연구 대상을 충분히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실험’(experiment)의 가정과는 다르다. 임상시험의 연구 대상은 실험동물이 아닌 인간이기 때문에 완벽한 통제는 불가능하다. 또한 임상시험을 시행하는 제약사나 연구자는 연구 대상인 인간의 인권과 자율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윤리적 원칙이 제대로 지켜지는지 늘 스스로 확인하고 제3자에게 확인받아야 한다. 물론 이러한 원칙 역시 처음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다. ‘마루타’를 대상으로 생체실험을 하던 2차 세계대전의 경험, 그리고 흑인들을 대상으로 한 터스키기 매독연구와 같은 반인권적 ‘실험’에 대한 반성과 고민에서 비롯됐다.
그럼에도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은 ‘실험’을 크게 벗어난 것 같지는 않다. 임상시험이 여전히 ‘실험’이라고 불리는 것은 임상시험이 피험자의 권익을 침해할 위험이 크다고 여겨지기 때문일 것이다. 종종 환자들에게 임상시험 참여를 권유하면 ‘그거 내 몸 가지고 테스트하는 거 아니냐’, ‘꺼림칙해서 싫다’는 등의 반응이 적지 않다. 좋은 치료제는 임상시험을 통해 효과를 검증받아 개발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임상실험’이라는 말은 증권가 ‘지라시’나 경제뉴스에서도 흔히 보이는 단어이다. 임상시험 착수 자체를 유효성 입증에 준한 성과로 과도하게 해석하거나, 아예 적극적으로 일부 신약개발업체의 주가 올리기 수단으로 이용하는 이들의 입장에서 임상시험은 ‘실험’일 뿐인가 싶기도 하다. 피험자들이 감수할 위험과 연구자의 과학적·윤리적 고민은 아랑곳없이 오로지 그들이 돈을 건 장밋빛 미래만 보일 뿐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임상시험에 대한 기대는 더욱 커졌다. 내과의사인 나도 잘 모르는 항바이러스제 이름들을 일반인들이 줄줄 외우고 다닐 정도다. 과학과 의학이 모처럼 일반인의 관심을 받는 기회가 된 것은 의미가 있다.
최근 코로나19 백신 개발 연구를 위해 먼 거리를 오가며 채혈을 하는 불편을 마다하지 않는 한 완치자의 소식은 우리 모두를 훈훈하게 했다. 그 뉴스를 보며 나는 임상시험 참여자들이 좀더 존경받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다. 신약과 백신은 과학자들과 의사들만의 힘으로 개발하는 것이 아니다. 임상시험 피험자 없이는 연구가 진행될 수 없다. 피험자 중에는 더 나은 치료를 기대한 사람도, 치료비를 경감받고자 참여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참여 동기가 무엇이었든 그들은 불확실성과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며, 그들의 행동이 신약 개발과 인류 공동의 지식을 넓히는 연대의 실천이라는 점은 주목받아야 한다. 더 많은 이들이 기꺼이 임상시험에 참여하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으면 좋겠다.
마침 세계보건기구 주관으로 항바이러스제와 항말라리아제의 여러 조합을 코로나19 확진환자에게 투여하는 임상시험이 시작됐다. ‘solidarity’(연대)라는 이름이 인상적이다. 2차 세계대전의 비극에서 비롯된 임상시험의 역사가 세계적 연대로 인류를 구하는 새 전기를 맞을지 기대된다.
2020-04-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