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4학년
2010년을 돌이켜 보자. 아이폰이 2007년에 출시되긴 했어도 아직 스마트폰은 북미권을 벗어나서까지 활발히 보급된 상황은 아니었다. 2009년 삼성에서 출시한 옴니아가 ‘옴레기’ 소리를 듣던 것을 생각하자. 스마트폰은 여전히 사치품에 가까웠고, 성능도 썩 좋지만은 않았다. 사회적 영향력도 당연히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가 자리잡고, 애플에 대항하는 공급 업체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상황은 완전히 바뀌었다. 가격은 혁명적으로 싸지고 성능은 정신을 잃을 정도로 빠르게 향상됐다. 거기에 LTE가 퍼져 나가고 앱 생태계가 발전하면서 스마트폰은 정말이지 만능 기기로 변신했다.
이 과정에서 모든 것이 바뀌었다. 카카오톡은 10대들의 의사소통부터 기업의 업무 풍경까지 뒤흔들었다. 기성 미디어를 위협하는 유튜브, 웹소설, 웹툰 혁명의 무기 또한 스마트폰이었다. 한편 아랍 혁명부터 가짜뉴스까지 정치적 행동과 여론의 중심에는 스마트폰으로 매개되는 소셜미디어가 들어섰다. 최근 매서운 속도로 성장하는 중국의 기술 혁신은 이 나라가 가장 거대한 스마트폰 시장이라는 사실과 결코 뗄 수 없는 일이다. 스마트폰을 잘 제조하는 기업을 갖춘 국가는 부를 축적할 수 있었고, 국제적으로 뻗어 나간 스마트폰 생산 공급망은 태평양 전역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해 나갔다.
2010년대 전반에 축적되기 시작한 이 변화상들은 2010년대 후반 우리들의 일상에 원하든 원하지 않든 짙은 명암을 드리우게 된다.
스마트폰의 장엄한 연대기는 기술의 보편적 속성을 새삼 일깨워 준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기술의 파급효과가 무엇이 됐든 우리가 상상하는 범위 바깥에 있다는 것일 듯하다. 스티브 잡스는 아이폰이 세상을 흔들 것을 기대했지만 이런 모습으로 흔드는 것까지 예측하지는 못했다. 2020년대에도 모바일 혁명의 여파는 여전히 인간 문명의 풍경을 바꿔 나갈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지금 이 순간 진행되고 있는 또 다른 기술 혁신이 2020년대를 무서운 속도로 바꿔 나갈지도 모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종착지가 어디가 될지는 역시 아무도 모를 것이다
그러니 어쩌면 당신에게 이 칼럼을 보여 주는, 이 작지만 강력한 기기를 다시 생각하며 2010년대의 마지막을 잘 보내는 건 어떨까.
2019-12-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