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은혜의 책 사이로 달리다] 남의 글에 손, 얼마나 댈 것인가

[이은혜의 책 사이로 달리다] 남의 글에 손, 얼마나 댈 것인가

입력 2019-12-09 17:46
업데이트 2019-12-10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레이먼드 카버의 소설집 ‘사랑을 말할 때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은 그의 ‘풋내기’라는 원고를 채에 걸러내 절반만 실은 것이다. ‘사랑’을 먼저 접한 독자들은 몰랐다. 그 책이 첫 편집자 고든 리시에 의해 뭉텅 잘려 나갔다는 것을. 물론 카버는 편집자 의견에 동의해 그렇게 펴낸 것이지만, 언젠가 온전한 형태로 재출간하겠다는 바람을 가졌고, 그의 사후 다른 편집자가 원본을 되살려 냈다.

이 일화를 접했을 때 편집자인 나는 “아, 고든 리시는 너무 대범한 짓을 저지른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미 대가가 된 카버를 접한 나로서는 편집자가 원고를 난도질했다는 느낌이었고, 과연 무슨 잣대로 그랬을까 궁금했다. 상업성? 완성도? 재미? 두께?

출판계에 들어와 선배에게 처음 들은 말은 “많이 고치는 편집자는 하수(下手)”라는 것이다. “편집자는 가능한 한 많은 걸 깊이 알고 있어야 하지만, 하는 일은 별로 없지.” 맞다, 사실 편집자는 문장도 맘대로 손댈 수 없는 처지다. 나 역시 3교까지 진행한 원고를 쓰레기통에 넣고 다시 시작한 적이 있다. 저자가 “내 글 같지 않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그는 글의 호흡과 리듬, 문체를 말한 것이지만, 나는 그 글의 반복성을 참기 힘들었고, 문체도 잘 간파해 내지 못했다.

편집은 완성도를 향한 지난한 과정이다. 문제는 완성도의 기준이 다 다르며, 그건 사상, 독서의 맥락과 폭, 전범으로 삼는 글쓰기 모델, 시류를 보는 눈 등이 빚어낸 결과라는 것이다. 초보 편집자들은 서슴없이 말한다. “문장이 안 좋아서 다 뜯어고쳐야 할 듯해요.” “번역이 엉망인데요.” 아, 이건 저자나 역자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말이라서 나를 향한 공격이 아닌데도 상처를 입는다. 이런 당돌함은 솔직함이기도 하지만, 한편 자기 세계의 한계를 아직 모르는 이의 무모함이다. 그래서 편집자와 저자의 한계를 반반씩 늘어놓으면 후배는 재반박한다. “제가 보기엔 완전 비문인데요?” 그런데 어떤 비문은 그 작가의 고유한 문체일 수도 있다. 소설가 P가 그렇고 흔히 시인들은 조사를 비문법적으로 쓴다.

주술 관계의 정확성, 맞춤법, 띄어쓰기, 원문에 충실한 번역처럼 기준이 마련돼 있는 것을 제외하면 편집은 주관성의 영역이다. 얼마 전 만난 기자 S는 한 글자도 못 고치게 하는 외부 필자들을 경멸했다. 다른 사람 눈에는 글쓴이의 오점이 잘 보인다. 하지만 자기 글이 곧 자기라고 생각하는 필자에게 타인의 수정은 독극물과 같은 것이다. 이런 평행선에서 승리하는 쪽은 결국 필자지만, 누가 옳은지는 쉽게 말할 수 없다.

다른 한편 원고에 손을 많이 대는 편집자를 선호하는 작가들도 있다. 홀로 몇 달 작업하다 보면 수십 번도 더 읽은 자기 글에 대한 감을 잃어버린다. 그러니 이들은 첫 독자인 편집자의 감각을 빌리고 싶어 한다. 지난해 예순쯤 된 저자를 만났는데, 그는 젊은 신참 편집자가 원고를 맡아 주길 바랐다. 나이 들면서 닳아버린 감성과 판단력을 타인이 헤집고 들어와 복원하고 확장해 주길 바란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부 베스트셀러는 정말로 편집자의 손에서 만들어지기도 한다. 확고한 작가세계를 구축한 이가 아니라면 책 판매는 얼마쯤 트렌드를 잘 따를 때 승부를 보기 마련인데, 이걸 예리하게 짚는 편집자를 만나면 작가는 그 덕에 시류 속에 편승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주의할 점은 시류가 언젠가 역류가 돼 나를 집어삼킬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글을 얼마나 고칠 것인가라는 문제는 평행선을 달리는 영원한 화두 같다. 편집자들은 원고에 일부 기여하고 싶은 욕망을 지녔지만, 그럼에도 가장 좋아하는 저자·역자는 완벽한 이들이다. 고(故) 남경태 작가의 책을 편집한 이는 말한다. “내용뿐 아니라 맞춤법조차 손댈 게 하나도 없었다.” 그러니 내가 만난 편집자의 얼굴이 콘크리트 색깔처럼 어둡다면 그가 편집하고 있는 원고의 상태를 조금 짐작해 봐도 좋을 것이다.
2019-12-10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