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경제 블로그] 기업은행 창립 이후 최대 ‘승진 잔치’ 왜

[경제 블로그] 기업은행 창립 이후 최대 ‘승진 잔치’ 왜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9-07-17 22:04
업데이트 2019-07-18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IBK기업은행이 최근 2명의 신임 부행장을 포함해 464명의 승진 인사를 냈습니다. 올 초(464명)까지 포함하면 1년 새 913명이 승진했습니다. 지난 3월 기준 기업은행의 정규직원(1만 2985명) 가운데 7%나 승진한 셈입니다. 기업은행은 최고 실적을 토대로 창립 이래 최대 규모의 승진 인사를 냈다고 ‘자화자찬’했습니다.

그러나 내막을 들여다보면 임금피크제 대상자가 대거 늘면서 이들이 맡았던 지점장과 팀장 자리를 채우기 위한 불가피한 ‘승진 잔치’라는 얘기가 나옵니다. 임금피크제가 역설적으로 승진의 숨통을 트여 준 꼴입니다. 2017년까지 32명이던 임금피크제 대상자가 지난해(311명)와 올해(478명) 10배 수준으로 급증했습니다. 2022년에는 직원 약 12.3%(1033명)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기업은행에선 만 57세 이상인 임금피크제 직원의 경우 사실상 현업에서 물러납니다. 이들은 주로 결정권이 없는 감사 업무를 맡습니다.

특히 대규모 승진 인사는 났지만 중간 책임자가 많은 ‘항아리형 인력 구조’는 여전합니다. 게다가 전체 인력은 그대로인데, 임금피크제를 적용받는 사람이 늘면서 기존 인력에 주어지는 부담이 더 무거워질 것이란 우려도 높습니다. 기업은행은 2016년 1월 이후로 희망퇴직제도마저 없앴습니다. 비금융 공공기관과의 형평성 때문에 높은 퇴직금을 주고 퇴직을 유도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기업은행은 인건비 예산을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운영합니다. 반면 다른 시중은행은 디지털뱅킹 시대를 대비해 많은 퇴직금을 주는 희망퇴직 실시로 인력 구조 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순발력이 떨어지는 과거 인사 관리로 인한 부담이 이제 돌아오고 있는 셈입니다. 상반기에 220명을 뽑은 기업은행은 하반기 채용 규모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오는 12월 임기가 끝나는 김도진 은행장은 연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기업은행의 인력 구조 개편은 다음 은행장의 과제로 남게 됐습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9-07-18 2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