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것보다 더 강한 것은 미치는 것”

“사랑하는 것보다 더 강한 것은 미치는 것”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03-13 17:28
수정 2018-03-13 17: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등단 52년 ‘꽃을…’ 산문집 낸 한승원

“인생을 돌아보니까 저는 늘 길을 잃었더라고요. 길을 잃고 다시 길을 찾고, 또 잃었다가 다시 찾는 노력을 반복해 왔어요. 완벽하게 산다면 그것은 인간의 삶일 수 없겠죠. 누구든 실수를 하지만 다시 각성하고 길을 찾습니다. 삶이 한쪽으로 기울어졌을 때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이야말로 우리의 삶을 올바른 쪽으로 이끌어 줍니다. 이 책은 바로 그 인생살이에 대한 기록입니다.”
이미지 확대
한승원 작가가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직접 ‘광기’라고 쓴 종이를 든 채 웃고 있다. 무언가를 사랑하는 것에 더해 미쳐야 이룰 수 있다는 의미로, 젊은 시절부터 품어 온 이 경구를 작가는 지금도 서재 벽에 붙여 놓고 있다고 한다.  뉴스1
한승원 작가가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직접 ‘광기’라고 쓴 종이를 든 채 웃고 있다. 무언가를 사랑하는 것에 더해 미쳐야 이룰 수 있다는 의미로, 젊은 시절부터 품어 온 이 경구를 작가는 지금도 서재 벽에 붙여 놓고 있다고 한다.
뉴스1
22년 전 서울 생활을 접고 고향인 전남 장흥으로 내려간 한승원 소설가는 그곳에 작은 집을 짓고 ‘해산토굴’(海山土窟)이라 이름 붙였다. 이유 없이 몸살을 자주 앓고, 하늘이 자신을 솎아 내려고 하는 느낌에 사로잡혔지만 끝내 “분투하고 또 분투했다”고 작가는 되뇌었다. 등단 52년을 맞은 한 작가의 신작 산문집 ‘꽃을 꺾어 집으로 돌아오다’(불광출판사)에는 혹독한 겨울을 지나 새봄에 기어코 움트는 꽃의 의지처럼 생생한 글들이 모였다.
이미지 확대
지난 12일 기자들과 만난 한 작가는 “선인들 가운데 뜻있는 어느 유학자가 ‘집을 나서자 길을 잃었다’는 말을 했는데 길을 나서는 것은 꽃을 꺾든지, 별을 따든지 인생의 어떤 것을 성취하고자 함”이라면서 “결국 집으로 돌아왔다는 것은 그 성취를 통해서 인격을 완성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어 “글을 쓰는 한 살아 있을 것이고, 살아 있는 한 글을 쓸 것이라는 말을 삶의 모토로 삼고 있다”면서 “무거운 바위를 산 정상까지 밀어 올려야만 하는 형벌을 짊어진 시시포스처럼 글을 쓰는 일을 계속하고 있고 앞으로도 해 나갈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미지 확대
소설가 한승원
소설가 한승원
인생의 말년에 접어들어 지나온 삶을 되돌아보는 글이라 서글픈 정서가 배어 있을 것 같지만 작가는 그보다 앞으로 살아갈 날들에 대한 의지를 글 속에 꾹꾹 눌러 담았다. “저는 젊어서부터 집 바람벽에다가 검정 붓글씨로 늘 이렇게 써 놓곤 했습니다. 狂氣(광기). 지금도 제 서재 벽에 이렇게 쓰여 있죠. 사랑하는 것만으로는 성취하지 못하니까 미쳐야 한다는 뜻입니다. 사랑하는 것보다 더 강한 것은 미치는 겁니다. 미치면 이룰 수 있습니다.”

작가는 삶에 대한 이 같은 투철한 도전 정신을 자녀들에게도 당부하고 싶었다. 책 부록에 실린 ‘병상 일기-사랑하는 아들딸에게 주는 편지’에는 세계적인 작가의 반열에 오른 딸 한강과 한강의 오빠인 한동림 소설가에게 건네는 조언이 오롯이 담겨 있다. “아들딸에게 도전적으로 사는 법을 가르쳐 주고 싶어 글을 지었는데, 이는 곧 이 시대 젊은이들에게 건네는 말과도 같습니다. 엄동설한을 누가 얼마나 잘 이겨 냈느냐에 따라 더 아름답고 향기 있는 꽃을 피워낼 수 있는 법입니다.”

마침 이날은 한강 작가가 작품 ‘흰’으로 세계적인 권위의 문학상인 맨부커 인터내셔널상 후보에 또다시 올라 작가의 감회가 더욱 남달랐다. ‘흰’은 강보, 각설탕, 달, 쌀, 백지 등 흰색 사물에 대한 65편의 짧은 이야기를 시집처럼 엮은 작품이다. 한 작가의 산문집에 실린 글 ‘흰, 그게 시(詩)이다’에도 백목련을 바라보며 작가가 느낀 단상이 담겨 있다.

“‘희다’라는 개념에 대한 강이와 나의 정서가 비슷한 것 같더라고요. 물론 강이는 새로운 세계를 지닌 사람이기 때문에 저보다 생각이 더 섬세하죠. 제 작품이 리얼리즘 쪽에 바탕하고 있다면 신화적인 부분에 뿌리를 둔 강이의 작품은 환상적인 리얼리즘이죠. 나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세계예요. 강이의 작품을 읽으면서 공부를 더 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웃음)”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3-1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