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릿 로드/탁재형 지음 시공사 펴냄
그래 맞다. 그깟 포도 좀 밟아다가 발효시킨 술 한 잔 마시기 위해 온갖 오두방정을 다 떨어대는 ‘신의 물방울’ 정도는 읽어줘야 하는 시대에, 그보다 더한 독주 한 잔 마시려면 대충 이 정도 표현쯤은 나와 줘야 한다. “현지의 전통 증류주를 마실 때마다 나는 일종의 접신과도 같은 체험을 한다. 한 민족이 발전시킨 먹고사는 문화의 피라미드 정점에 위치하는 것이 증류주이기에. 그리고 그 제조방법 역시 곡물이든, 과일이든, 벌꿀이나 동물의 젖이든, 그 지역의 자연이 가진 풍미의 정수만을 모으는 어려운 과정이기에. 따라서 증류주를 마시는 것은 그것을 만든 사람들의 오랜 체험과 역사를 담은 대용량 USB 메모리를 내 몸에 꽂는 것처럼 단시간에 주입하는 행위다.”이탈리아의 그라파 상점. 와인을 증류한 것이 브랜디라면 그라파는 와인즙을 짜내고 남은 포도 찌꺼기를 발효시켜 증류한 술이다.
흔히 배갈로 알려진 중국 술 바이지우를 얻기 위한 전통 증류기. 배갈은 바이지우의 여러 종류 가운데 하나다. 소줏고리와 비슷한 모양새다.
캄보디아의 스라 서. 쌀과 누룩에다 각종 약재를 섞어 항아리 안에서 발효시킨 뒤 마실 때 물을 부어서 대롱을 꽂아 다 함께 마신다.
가 보기 어려운 곳에 가서 하필 왜 술 타령이냐고? USB라지 않는가. 핑계는 생겼으니, 아니 술 마시겠다는데 그딴 핑계 따위가 없으면 또 뭐 그리 대수겠냐마는, 이제 한 잔씩 한 잔씩 눈으로 마셔 볼 차례다. 이탈리아의 그라파, 루마니아의 팔링거, 베네수엘라의 미체, 수단의 아라기, 말라위의 카냐주와 페루의 카냐소, 캄보디아의 스라 서, 그리스의 치구디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마룰라, 브라질의 아구아르디엔테, 덴마크의 아콰빗 등 다양한 술들이 출현한다. 유럽 지배층이 포도밭 일궈 와인 마실 생각만 할 때, 고단한 노동에 찌든 피지배층이 무얼 가져다 어떻게 만들어 먹었는지 그렸다. 그래서 술에 대한 얘긴데, 그 술을 마시는 사람들 얘기로도 읽힌다. 출장길에 멋모르고 마신 술이 생각날 수도, 아니면 꼭 한번 도전해 보리라는 결심을 할 수도 있겠다.
비교적 흔히 접하는 와인, 위스키, 맥주는 책 뒷부분으로 돌려놨다. 맥주 얘기라면 빠질 수 없는 안줏거리, 한국 맥주의 밍밍함 얘기도 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한국 맥주보다 차라리 북한의 대동강 맥주가 더 맛있다고 주장했다. 저자도 “동의한다” 해뒀다. 그런데 이거, 요즘 세월이 하 수상하니 ‘고무찬양’이라도 되려나? 딸꾹. 1만 3000원.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3-0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