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와 차 한 잔] ‘미르’ 펴낸 龍박사 이혜화씨

[저자와 차 한 잔] ‘미르’ 펴낸 龍박사 이혜화씨

입력 2012-01-14 00:00
수정 2012-01-1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모든 이의 꿈 … 내공을 쌓듯 기다리면 ‘미르’가 될 수 있죠

“인류가 찾아낸 초월자 가운데 가장 독특한 것이 바로 용입니다. 동서고금, 언제 어디에서나 용은 도처에 있습니다. 더러는 표나게 드러나고 더러는 감쪽같이 숨어서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하면서 용은 모든 이의 꿈으로 존재하지요. 다만 동서양의 시각차로 인한 굴절이 있을 뿐입니다.”
이미지 확대
‘미르’ 펴낸 龍박사 이혜화씨
‘미르’ 펴낸 龍박사 이혜화씨


신간 ‘미르’(북바이북 펴냄)의 저자 이혜화씨는 용을 우리의 꿈으로 관통시킨다. 그러므로 용이 실재하는 존재인가, 혹은 상상 속에서만 사는 판타지인가로만 묻지 말아 달라고 한다. 그는 이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꿈이 될 수 없듯이 실재하지 않으면 그것은 용이 아니다. 또 이루어지면 이미 꿈이 아니듯이 실재하면 그것은 이미 용이 아니다.”라는 흥미로운 문답을 던진다. 따라서 “실재하지만 실재하지 않고, 실재하지 않지만 실재한다.”면서 결국 있으면서 없고 없으면서 있는 수수께끼 같은 존재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표상으로서 용은 인간의 개인 의식과 집단 무의식의 집합이며 긍극적으로 용학(龍學)은 인간학이기에 끊임없이 접하고 어떤 문화에서도 용을 외면할 수 없다.”는 논리를 편다.

비록 상상 속의 동물이긴 하지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역사 자료에 용에 관한 얘기가 아주 많이 등장한다. 그렇다면 용의 정체, 아니 그 윤곽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을까. 이 같은 질문에 그는 “지금까지 나온 자료들을 종합해 볼 때 용 모습의 기본은 뱀과 같이 길쭉하고 4개의 짧은 다리가 있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면서 ‘용의 뼈’에 관한 내용도 자료에 자주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바로 앞선 세대만 하더라도 용을 실체로 인식했던 것 같습니다. 용의 뼈가 무더기로 발견됐다는 내용이 전해오는 것도 그렇고요. 한국의 용 사상 특색은 우리 농경문화와 직결돼 있습니다. 수신(水神)에서 우신(雨神), 그리고 농신(農神)으로 발전하면서 풍년을 보장해주는 용으로 숭배했지요. 하지만 요즘 들어 농업이 후퇴하면서 용신이 위력이 약해졌다고나 할까요.”

이 책을 쓰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그러자 “요즘 살기가 힘들다고 한다. 때문에 누구나 용이 될 수 있다는 꿈을 주기 위해서 쓰게 됐다.”는 답이 돌아온다.

“어떤 물건에도 어떤 짐승들에게도 용이 있습니다. 개천에서 용이 났다는 말도 있지 않습니까. 누구나 용의 소질을 다 가지고 있지요. 용이 되기 위해서는 이무기가 천년 내공을 쌓듯 조급해하지 말고 각자 맡은 분야에서 내공을 쌓으면서 기다리면 용이 될 수 있습니다.”

어린 시절 할아버지한테 용에 대한 얘기를 자주 들으며 자란 저자는 고등학교 교장으로 정년퇴임한 후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 1998년 고려대에서 ‘용사상의 한국문화적 수용양상’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번에 낸 책 ‘미르’는 그동안 용 연구의 완결편이기도 하다.

“용은 최근 게임과 영화 등에서 진화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동서양의 용사상이 어떻게 결합될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앞으로 ‘용’이 아니라 우리 토속어인 ‘미르’라는 말이 보편화됐으면 좋겠습니다.”

글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사진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2012-01-1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