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아프가니스탄의 지방 판사로 임용돼 여성을 보호하는 일에 열중하다 두 차례나 죽을 고비를 넘긴 뒤 2008년 영국으로 망명한 마르자 바바카카일은 현지의 친구들이 탈레반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고 전해온다고 밝히고 있다.
유튜브 영상 캡처
유튜브 영상 캡처
탈레반이 그녀의 목숨을 노린 것은 여성을 보호하려는 그녀의 노력이 눈에 거슬렸기 때문이었다. 첫 살해 시도는 1997년 그녀의 고향인 바글란주를 탈레반이 점령한 바로 다음날 있었다. 수많은 세월이 흘렀지만 그녀는 어제일처럼 기억이 생생하다며 탈레반이 하나도 달라지지 않았을 것임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사람들은 걱정하고 있다. 난 희망을 버렸다. 여성들뿐만 아니다. 아프간의 새 세대는 물론 모두에 대해 그렇다.”
바바카카일은 인터뷰 도중 그녀가 받은 음성 메시지 하나를 들려줬는데 유명 여성 정치인의 것이라고 했다. 물론 신변에 위협이 가해질까봐 우려해 이름을 밝히지 않았다. 몇초마다 끊기는 가운데 그 정치인은 훌쩍이며 “난 무섭다. 더 이상 할 수 있는 일이 없어서”라고 속삭였다.
지난 15일 탈레반이 카불마저 장악한 뒤 이렇게 받는 절박한 메시지가 매일 수십통이라고 했다. 탈레반은 곧바로 여성의 인권을 존중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현지 여성 활동가들은 전혀 믿지 않는다고 했다. “여성들이 아프간에서 벌여온 운동들은 똑똑한 것이었다. 하지만 갑자기 하룻밤새 우리는 모든 것을 잃었다. 이렇게 말하기 쉽지 않은데, 받아들이기 어렵다.”
많은 친구들이 20여년 전 자신처럼 이 나라를 떠나고 싶어하는데 북부 풀 이 쿰리 출신인 바바카카일은 “내 인생 최악의 나날들이었다”고 돌아봤다. 커다란 무장 차량을 타고 온 아홉 탈레반 전사가 그녀의 집 문을 박차고 들어와 소리를 지르며 집안 곳곳을 뒤졌다. 간신히 문 뒤에 숨어 5시간을 버텼다. 그들은 모두가 보는 앞에서 그녀가 숨은 곳을 대라며 어머니의 뺨을 갈겼다. 그녀가 가정법원 판사로서 학교와 난민대피소를 만들었다는 것이 이유였다.
1990년대 아프가니스탄의 몇 안되는 여성 판사로 일하며 여성 인권을 보호하는 데 앞장서던 모습.
미르자 바바카카일 제공
야후! 뉴스 홈페이지 재인용
미르자 바바카카일 제공
야후! 뉴스 홈페이지 재인용
탈레반이 집안을 뒤진 다음날, 그녀와 가족들은 이웃 파키스탄으로 피신해 몇년을 지냈다. 미국이 침공한 뒤 2007년 카불로 돌아가 여성을 돕는 일을 했다. 그런데 어느날 어머니가 병원에 입원해 정기적으로 찾게 됐다. 어느날 편지를 받았는데 ‘내일 널 죽인다’는 내용이었다.
어머니가 피하라고 해 그녀는 평소 들고 다니던 작은 여행가방에 모든 것을 챙겨 병원 밖으로 나왔다. 도로를 걷는데 차량 한 대가 빠른 속도로 다가와 그녀를 친 뒤 달아났다. 반년을 입원해 있었는데 치아가 모두 부러지고, 등과 다리도 다쳤다. “(탈레반이) 두 번이나 날 공격했다. 때때로 스스로에게 묻는다. ‘내가 뭘 잘못했지’라고”
회복된 뒤에도 그녀는 카불에 머물렀지만 탈레반 전사들의 살해 위협은 계속됐다. 해서 영국 정부에 망명 신청을 했고, 받아들여져 두 번째로 아프간을 벗어났다. 그런데 다시 13년 만에 비록 몸은 멀리 있지만 탈레반 악몽에 다시 붙들리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