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깊고 선명한 풀컬러 우주에 바이든 “우리 능력의 한계는 없다” 유성체와 5번 충돌 찌그러짐에도 정육각 거울 18개 각도 미세조정 나사, 용골자리 성운 등 5곳 공개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베일 벗은 우주의 심연
미 항공우주국(NASA)가 쏘아 올린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찍은 영롱한 우주 사진들이 12일(현지시간) NASA 유튜브 방송을 통해 차례로 공개됐다. 스테판 오중주. 5개의 은하가 모여 아름다운 풍경을 만든다고 하여 스테판 오중주(Stephan’s Quintet)로 불리는데 NASA는 “은하들이 중력작용의 춤을 추면서 서로 끌어당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구에서 2억 9000만광년 떨어진 페가수스 자리에 있다. 미 항공우주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거대한 산과 계곡 같은 장관을 보여주는 용골자리 대성운은 태양보다 더 큰 대형 별들이 탄생해 ‘별들의 요람’으로 불린다. 수많은 별들이 광채를 발산하는 만큼 밤하늘에서 가장 크고 밝은 성운 중 하나다. 지구와의 거리는 7600광년이며 산과 계곡처럼 보이는 이미지는 실제 거대한 가스와 먼지층이다. 미 항공우주국 제공
“팔을 쭉 뻗어 손가락 끝에 놓인 모래 알갱이가 여러분이 지금 보는 우주의 일부입니다.” 빌 넬슨 미국 항공우주국(NASA) 국장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찍은 첫 번째 사진을 1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공개한 뒤 “(이 사진은) 우주의 작은 점 중 하나에 불과하다”며 우주에 대한 경이감을 표현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날 가장 먼저 공개된 남쪽고리 성운은 숫자 8처럼 보이기도 해 ‘8자 폭발’이라는 별칭이 있으며 지구에서 2000광년 떨어져 있다. 미 항공우주국 제공
46억 광년 떨어진 ‘SMACS 0723’ 은하단을 풀컬러로 담은 해당 사진을 보는 자리에 배석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의 능력을 넘어서는 것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며 자부심을 나타냈고, 국가우주위원회 의장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과학적 발견의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NASA는 이 자리에서 1시간에 걸쳐 JWST가 촬영한 천문학에서 첫 관측 결과를 의미하는 ‘첫 빛’(first light) 이미지를 공개했고, 이튿날 이를 포함해 우주 천체 5곳을 찍은 컬러 우주 이미지와 분광 자료를 공개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미항공우주국(NASA)이 11일(현지시간) 처음으로 공개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근적외선 카메라(NIRCam)가 12시간 30분 동안 촬영한 ‘SMACS 0723’ 은하단의 모습. 빛 하나가 각각의 은하이며, 은하마다 수천억 개의 별들로 구성돼 있다. 지구에서 46억 광년 떨어진 해당 은하단의 거대한 중력장이 은하단 뒤에 있는 천체의 빛을 확대·굴절시키면서 130억년 전 초기 은하의 모습까지 포착됐다. 미항공우주국 제공
JWST가 찍은 인류 역사상 우주의 가장 깊은 곳이 공개된 이날은 지난해 12월 25일 JWST가 우주로 발사된 지 정확히 200일째 되는 날이다. 주로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허블 우주망원경과 달리 JWST는 적외선으로 열을 감지해 우주 가스나 먼지구름을 뚫고 우주를 가장 깊이 들여다볼 수 있다. JWST는 발사 이후 한 달 만인 지난 1월 24일 지구에서 약 150만㎞ 떨어진 ‘제2 라그랑주 점’(L2)에 안착했다. 태양과 지구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곳으로, JWST가 연료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점이다. 태양에서 바라보면 열에 민감한 JWST가 지구의 뒤편에 숨어 초저온 상태에서 최적의 관측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미국항공우주국(NASA) 관계자들과 화상으로 만나 차세대 우주망원경인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찍은 첫 번째 사진을 공개하고 있다. 화면 속 사진은 지구에서 약 46억 광년(1광년은 약 9조 4600억㎞) 떨어져 있는 ‘SMACS 0723’ 은하로, 지금까지 인류가 촬영한 우주 천체 사진 중 가장 해상도가 좋은 사진이다. 워싱턴DC AP
JWST는 지난 2월 11일에는 정상 작동 중임을 확인했고, 3월 17일에는 지구에서 약 2000광년 떨어진 별을 찍은 이미지를 보내와 NASA가 이를 공개한 바 있다. JWST는 본격적인 관측 전에 모래 알갱이보다 작은 크기의 유성체와 모두 5차례 충돌했다. 이 충돌로 찌그러진 부분이 발생했지만 NASA는 정육각형 거울 18개를 이어 붙인 거대한 주경의 각도를 미세 조정해 관측에 영향을 최소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2022-07-1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