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으로 여는 아침] 공동체를 구하는 리더십과 팔로십

[고전으로 여는 아침] 공동체를 구하는 리더십과 팔로십

입력 2016-05-31 23:06
수정 2016-06-01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느 집단이든 결정적인 패배를 당한 상황, 또는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상태에서 생존해 나간다는 것은 쉽지 않다. 아테네 출신 장군 크세노폰(기원전 430?~355?)의 ‘아나바시스’는 이런 극한 상황에서 작은 군사집단이 어떻게 위기를 극복하고 생환했는가를 한 편의 파노라마처럼 잘 보여 준다.

그리스군이 페르시아의 왕자 퀴로스 2세의 반란에 용병으로 참가해 내륙 깊숙이 진군했다가 패전한 후 기원전 400년 적진을 뚫고 천신만고 끝에 그리스로 귀환하는 과정을 그린 전쟁기다. 산에 오를 때보다 내려올 때 더 많은 위험이 도사려 있듯 군대도 적과 맞서 싸우거나 진군할 때보다 대오를 잃고 퇴각할 때 더 큰 피해를 입는 게 상례다.

패전 후 오롯이 남은 그리스 1만 군대가 그런 상황이었다. 그러나 페르시아 영토 한가운데 고립된 그들에게 페르시아군이 무기를 버리고 항복하라고 요구하자 그들은 단호하게 응했다. “우리가 대왕의 친구가 돼야 한다면 우리는 무구들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었을 때보다는 그것들을 가지고 있을 때 더 값진 친구들이 될 것이며, 그리고 우리가 싸워야 한다면 무구들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었을 때보다는 그것들을 가지고 있을 때 더 잘 싸우게 될 것이라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난국을 헤쳐 나갈 길이 보이지 않을 때 느끼는 절망감은 조직의 사기를 땅에 떨어뜨린다. 그때 현명한 장군들이 적진을 정면 돌파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하지만 퇴각 과정에서 그들을 돕는 듯 위장했던 페르시아 태수의 속임수에 빠져 그리스군의 주요 장군들이 몰살당한다.

그리스군은 큰 충격을 받고 혼란에 빠졌지만, 곧 전 병사들이 참여해 장군들을 민주적으로 선출하고 전열을 가다듬어 퇴각하게 된다. 군량미를 획득하기 위해서 적과의 협상이냐 정벌이냐의 냉혹한 결정을 해야 했다. 이때마다 이들은 전 군사의 다수결 의사에 따르거나,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고 난 후 예언자가 전해 주는 전조(前兆)의 길흉에 따라 군대의 진퇴를 결정했다.

지휘관은 개인이 아닌 공동체를 위한 공명정대한 자세와 정확하고 합리적인 상황 판단에 의한 설득과 협상 능력을 발휘했다. 지휘관의 리더십 못지않게 전사들의 팔로십도 주효했다. 귀향에 대한 강렬한 희구, 자유에 대한 열망, 리더를 정점으로 한 그리스 전사들의 결속력이 자신들을 살려 냈다. 오늘날 리더를 잃고 방황하는 정당, 파산 위기에 놓인 기업, 구심 없이 갈등하는 모든 조직에서 주목해 볼 대목이 많다.

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kipeceo@gmail.com
2016-06-0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