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일이다. 미국 남부를 대표하는 학문의 메카인 어느 대학의 영문과에서 박사학위 후보자에게 생존해 있는 작가들에 대해 논문을 쓰게 하는 문제를 두고 교수들 사이에 심한 논쟁이 벌어졌다. 논쟁의 반대편에 서 있던 교수들은 생존해 있는 작가들이 학위 논문의 대상이 되는 순간 그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식하게 되어 작품에 대한 객관적인 비평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19세기 영국의 유명한 평론가 매슈 아널드의 지적처럼, 문학 작품을 평가하는 첫걸음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다.” 작품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면, 그것과 함께 오는 눈먼 편견 때문에 예술작품의 가치는 물론 그 속에 담겨 있는 진실마저 왜곡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사물은 보는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지금까지 우리 문단에서도 작품을 평가하는 데 왜곡된 시각과 선입견이 작용하는 경우가 없지만은 않았다.
얼마전 작고한 수필가 피천득의 경우를 보자. 그는 1910년 생으로 경성제대 예과와 서울 사대 영문과 교수를 역임하면서 이양하 교수와 함께 한국 영문학계와 수필계에서 개척자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그는 짧은 공간 속에 간결하고 단아한 문체로 아이들이 자라나는 귀여운 모습과 같이 사소한 일상에서 발견한 아름다움과 즐거움에 대해 짙은 향수마저 느끼게 하는 서정적인 글을 써 큰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 그래서 수필을 쓰는 많은 사람들은 그를 한국 수필의 원류(源流)라고까지 칭송하며 모방에 모방을 거듭했고, 필자 역시 어릴 적부터 젊은 시절까지 이러한 피천득의 수필이 지닌 시정(詩情)적인 아름다움에 적지 않은 매력을 느꼈다. 실제로 일상적인 생활 주변에서 보고 느끼는 행복한 작은 경험을 평화로운 마음과 서정적인 문체로 정감 있게 표현하는 것을 수필의 정석(定石)이라고 생각하게 된 것도 그가 수필 장르를 감성적으로 정의한 ‘수필’이라는 ‘유명한 글’을 쓴 이후부터인 듯하다. 지금 우리 문단에서 수필의 길이를 서구의 경우와는 달리 원고용지 15장 내외로 정하고 있는 것 역시 그의 글이 남긴 영향력 때문인 듯하다.
그러나 피천득은 산문 장르에 속하는 수필에 시적인 요소를 너무나 강조했기 때문인지 감성에 넘치는 표현에 비해 작품의 내용은 다소 단편적이고 감각적이라는 평가가 있다. 실제로 피천득은 표현 면에서 그가 아끼고 사랑했던 찰스 램에 어느 정도 비교할 만하지만, 긴 호흡을 갖고 숨겨진 생의 진실과 지혜를 발견해 그것을 도덕성과 함께 감동적으로 구현하지 못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수필장르의 창시자인 몽테뉴의 고전적 수필이 정전(正典)으로 높이 평가받는 것은 글 속에 담긴 깊은 도덕적인 울림과 철학적인 주제의식 때문이 아닌가.
엄격히 말해, 피천득의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인연’을 포함해 그의 작품 대부분은 주제의식이나 도덕성 측면에서 정전의 반열에 오르기는 부족한 면이 없지 않다.‘인연’과 유사한 주제를 가진 서머셋 모음의 ‘빨강 머리(Red)’가 도덕성의 빈곤 때문에 현지의 영문학 교과서에서 빠졌다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주변 환경 때문에 지나치게 과찬하는 분위기는 우리 문학발전을 정지시키는 슬픈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얼마 전 피천득의 부음을 대서특필한 일간지 기자들은 하나같이 작품 ‘인연´을 세계적인 걸작처럼 평가했다. 그러나 그것이 영문학자로서 깨끗하게 살면서 정갈한 수필을 겸허한 마음으로 써왔던 그를 ‘욕되게´ 만드는 슬픈 결과를 가져왔다는 시각도 없지 않다. 과공(過恭)이 비례(非禮)인 것처럼, 과찬(過讚) 역시 비례이기 때문이다.‘마음의 갈등´ 문제를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문학세계에서 편견으로 인한 과찬으로 유명을 달리한 작가를 당혹스럽게 만드는 것은 예(禮)가 아니다.
이태동 서강대 영문학 명예교수
19세기 영국의 유명한 평론가 매슈 아널드의 지적처럼, 문학 작품을 평가하는 첫걸음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다.” 작품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면, 그것과 함께 오는 눈먼 편견 때문에 예술작품의 가치는 물론 그 속에 담겨 있는 진실마저 왜곡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사물은 보는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지금까지 우리 문단에서도 작품을 평가하는 데 왜곡된 시각과 선입견이 작용하는 경우가 없지만은 않았다.
얼마전 작고한 수필가 피천득의 경우를 보자. 그는 1910년 생으로 경성제대 예과와 서울 사대 영문과 교수를 역임하면서 이양하 교수와 함께 한국 영문학계와 수필계에서 개척자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그는 짧은 공간 속에 간결하고 단아한 문체로 아이들이 자라나는 귀여운 모습과 같이 사소한 일상에서 발견한 아름다움과 즐거움에 대해 짙은 향수마저 느끼게 하는 서정적인 글을 써 큰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 그래서 수필을 쓰는 많은 사람들은 그를 한국 수필의 원류(源流)라고까지 칭송하며 모방에 모방을 거듭했고, 필자 역시 어릴 적부터 젊은 시절까지 이러한 피천득의 수필이 지닌 시정(詩情)적인 아름다움에 적지 않은 매력을 느꼈다. 실제로 일상적인 생활 주변에서 보고 느끼는 행복한 작은 경험을 평화로운 마음과 서정적인 문체로 정감 있게 표현하는 것을 수필의 정석(定石)이라고 생각하게 된 것도 그가 수필 장르를 감성적으로 정의한 ‘수필’이라는 ‘유명한 글’을 쓴 이후부터인 듯하다. 지금 우리 문단에서 수필의 길이를 서구의 경우와는 달리 원고용지 15장 내외로 정하고 있는 것 역시 그의 글이 남긴 영향력 때문인 듯하다.
그러나 피천득은 산문 장르에 속하는 수필에 시적인 요소를 너무나 강조했기 때문인지 감성에 넘치는 표현에 비해 작품의 내용은 다소 단편적이고 감각적이라는 평가가 있다. 실제로 피천득은 표현 면에서 그가 아끼고 사랑했던 찰스 램에 어느 정도 비교할 만하지만, 긴 호흡을 갖고 숨겨진 생의 진실과 지혜를 발견해 그것을 도덕성과 함께 감동적으로 구현하지 못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수필장르의 창시자인 몽테뉴의 고전적 수필이 정전(正典)으로 높이 평가받는 것은 글 속에 담긴 깊은 도덕적인 울림과 철학적인 주제의식 때문이 아닌가.
엄격히 말해, 피천득의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인연’을 포함해 그의 작품 대부분은 주제의식이나 도덕성 측면에서 정전의 반열에 오르기는 부족한 면이 없지 않다.‘인연’과 유사한 주제를 가진 서머셋 모음의 ‘빨강 머리(Red)’가 도덕성의 빈곤 때문에 현지의 영문학 교과서에서 빠졌다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주변 환경 때문에 지나치게 과찬하는 분위기는 우리 문학발전을 정지시키는 슬픈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얼마 전 피천득의 부음을 대서특필한 일간지 기자들은 하나같이 작품 ‘인연´을 세계적인 걸작처럼 평가했다. 그러나 그것이 영문학자로서 깨끗하게 살면서 정갈한 수필을 겸허한 마음으로 써왔던 그를 ‘욕되게´ 만드는 슬픈 결과를 가져왔다는 시각도 없지 않다. 과공(過恭)이 비례(非禮)인 것처럼, 과찬(過讚) 역시 비례이기 때문이다.‘마음의 갈등´ 문제를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문학세계에서 편견으로 인한 과찬으로 유명을 달리한 작가를 당혹스럽게 만드는 것은 예(禮)가 아니다.
이태동 서강대 영문학 명예교수
2007-07-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